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국감 2018] 가스공사, 인천 LNG 누출 사고 솜방망이 처분하고 쉬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해 11월 5일 한국가스공사(036460)의 인천기지 액화천연가스(LNG) 저장탱크 가스 누출 사고 당시 사진이 약 1년 만에 공개됐다. 자칫 대규모 폭발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지만, 내부에서 덮어놓고 쉬쉬하는 분위기가 조성됐고 변상조항을 슬그머니 삭제한 정황도 밝혀졌다.

조선비즈

지난해 11월5일 인천 LNG인수기지에서 발생한 가스 유출 사고 당시 현장 사진. 한국가스공사 내부에서 공유한 사진에는 '민감한 사항 보기만 합시다'란 자막이 삽입돼 있다./권칠승 의원실 제공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5일 인천 LNG인수기지 가스 유출 사고 현장 사진을 공개하며 "사고를 처리하는 가스공사의 모습은 '도 넘은 제 식구 감싸기'라고 지적했다.

내부 직원이 찍은 사진 속 저장탱크에는 영하 165도(℃)로 냉각된 LNG가 마치 드라이아이스처럼 뿜어져 나오고 있다. 권 의원은 "자칫 대규모 폭발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천만한 상황이지만, 사진에 '민감한 사항 보기만 합시다'는 자막 써 있듯 내부에서 덮어놓고 쉬쉬하는 분위기가 조성됐다"고 지적했다.

가스 누출 사고가 발생한 저장탱크는 인천 LNG 인수기지의 1호 탱크로 2016년 86억6000만원을 들여 보수했음에도 대형사고가 터졌다. 당시 방출된 가스와 소각 처리한 가스는 약 28톤에 달했다.

사고가 난 지 1년 가까이 됐지만 아직 보수 작업은 시작되지도 않았고 1년 넘게 사고조사위만 꾸려졌다. 사고 이후 지금까지 지급한 진단 비용은 20억4000만원이고 자칫 전면 보수로 이어질 경우 650억원 정도가 추가 투입될 것으로 추정된다.

사고 당시 LNG 저장탱크에서 가스가 넘치지 않도록 설비를 감시했어야 할 직원들은 잠을 자거나 자리를 비운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에 연루된 직원은 총 23명에 이르지만, 9명은 징계조치가 아닌 경고를 받았고 14명은 견책과 감봉 같은 경징계를 받았다. 가스공사 스스로 사고의 중대성을 감안해 ‘1급 사고’라고 판정한 것을 감안하면 이율배반적인 조치다.

가스공사는 사고를 낸 직원들에게 구상권을 청구해 변상금을 받아낼 수 있지만 변상심의위원회조차 열리지 않은 사실도 확인됐다. 가스공사 감사규정에 있던 변상심의위원회 조항을 올해 1월 삭제됐다.

권 의원은 "가스공사는 막대한 재산상 피해를 보고도 근무태만의 직원들에게 구상권을 청구하지도 않고 솜방망이 처분으로 사건을 마무리지었다"며 "대규모 폭발로 이어질 수 있는 아찔항 상황의 사고였지만, 내부 직원들끼리만 사건 당시 사진을 돌려보며 사건 축소에만 급급했다. 공기업의 기강 해이가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안상희 기자(hug@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