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떨치지 못한 美 IT 실적 우려, 아시아 증시 불안한 반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증시발(發) 찬바람이 이틀째 글로벌 증시에 불었지만, 12일 한국·중국·일본 등 아시아 증시는 반등에 성공했다. 그러나 미국 증시 급락의 원인인 미국 시장금리 상승 우려나 IT주의 실적 하락 가능성이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어서 글로벌 증시의 불안감은 여전하다. 여기에 트럼프 미 대통령이 연일 증시 급락의 원인을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상 탓으로 돌리는 거친 발언을 쏟아내는 것도 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이 되고 있다.

아시아 증시 급락 하루 만에 반등

11일 4.44% 급락하면서 1년 6개월 전 수준으로 밀렸던 한국 코스피지수는 12일 전날보다 1.51% 오른 2161.85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5.37% 폭락하면서 공포에 휩싸였던 코스닥 시장은 12일 3.41%나 급등했다. 한국뿐 아니었다. 내림세로 출발했던 일본 닛케이지수는 오후 들어 상승세로 돌아서 전날보다 0.46% 올랐다. 전날 5.22% 폭락했던 중국 상하이 지수도 0.91% 올라 반등에 성공했다.

조선비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날 4~5%대에 달하는 급락세가 너무 지나쳤다는 인식이 시장에 퍼진 데다, 오후 들어 중국의 9월 수출이 미·중 무역 갈등 와중에도 전년보다 14.5% 늘어나는 좋은 성적을 올렸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이다. 미·중 무역 분쟁의 파장이 예상과 달리 크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과 유럽 증시는 11일까지는 전날 미국 증시가 3% 이상 급락했던 여파가 여전해 계속 하락했다. 미 다우존스 산업 평균과 나스닥 지수가 각각 2.1% 1.2% 내렸다. 하지만 12일 미국 뉴욕 증시는 다우존스 산업 평균이 1.5%(현지 시각 오전 9시 30분 기준) 오르는 등 상승하며 거래를 시작했다. 주가가 폭락하며 증시 하락을 이끌었던 대형 기술주들도 이날 오전엔 가격이 올라, 아마존·애플·구글은 주가가 약 3%, 넷플릭스는 약 5% 오르며 거래를 시작했다. 증시 급락을 촉발했던 시장금리 급등(채권 가격 하락) 우려도 다소 진정됐다.

하지만 이런 증시의 불안이 완전히 걷혔는지는 불투명하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아시아 증시는 너무 떨어졌다고 보는 투자자가 많아 반등하기는 했지만, 미국 기술주들이 높은 주가만큼의 실적을 올릴 수 있을지 의구심은 여전하다"며 "지금껏 세계 증시를 끌고 온 미국 기술주의 미래에 대한 의심이 커지면 글로벌 증시 불안은 계속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의 '美 증시 급락 연준 책임론'

미국에선 트럼프 미 대통령이 이틀 동안 네 번에 걸쳐 증시 급락의 책임을 금리를 계속 올리는 연준에 돌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11일(현지 시각) 폭스 뉴스와 인터뷰에서 "연준의 통화정책이 너무 공격적"이라면서 "연준이 큰 실수를 저지르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연준이 깜찍하게 굴고 있다(getting a little bit too cute). 우스꽝스럽다"라고도 했다. 이어 백악관 기자회견에선 "연준이 통제가 안 된다"면서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경질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실망했을 뿐"이라고 했다.

트럼프는 전날엔 뉴욕 증시가 급락한 직후 기자들에게 "연준이 실수하고 있다. 너무 긴축적이다. 연준이 미쳤다(gone crazy)"라고 했다. 같은 날 심야 폭스 방송과 전화 인터뷰에선 "금리를 올리는 것은 웃기는 일"이라며, "연준은 미치광이가 되어 간다(going loco)"고 거친 말로 연준을 공격했다. 미국 대통령이 독립성이 보장된 연준을 향해 원색적인 표현을 써 가면서 공격하는 건 이례적이다. 시장에선 트럼프가 '증시 강세'를 자신의 치적으로 내세웠는데, 주가가 크게 떨어지면 그 주장에 흠이 가기 때문에 이 같은 행보를 보인다고 해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발언들은 미국 금리 정책의 불확실성을 키워 오히려 주가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파장이 커질 것을 우려한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11일 CNBC방송과 인터뷰에서 "대통령은 자신의 의견을 언급했을 뿐, 연준에 영향력을 가하려는 건 아니다"며 "연준은 독립적이다"고 해명했다.

방현철 기자(banghc@chosun.com);뉴욕=오윤희 특파원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