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김동연·므누신, "굳건한 한·미 공조체제 유지키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총재회의'서 양자회담

외환정책, 한·미 통상현안, 이란 제재 등 논의

남북·북미 정상회담 계기, 한반도 평화 여건 조성

뉴시스

【서울=뉴시스】 IMF/WB 연차총회 참석차 인도네시아 발리를 방문 중인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2일(현지시각) 웨스틴호텔에서 스티븐 므누신 미국재무장관과 면담을 하고 있다. 2018.10.12.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발리=뉴시스】김경원 기자 =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은 12일(현지시간) 앞으로도 굳건한 한·미 공조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김 부총리는 이날 인도네이사아 발리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 및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에서 므누신 미 재무장관과 양자 회담을 가졌다.

이번 한미 재무장관 회담은 김 부총리와 므누신 장관이 취임한 후 일곱 번째 만남이다. 양측은 이 자리에서 외환정책, 한·미 통상현안, 이란 제재, 남북 이슈 등을 놓고 의견을 나눴다.

김 부총리는 외환정책과 관련해 최근의외환시장 동향, 한국 정부의 투명성 제고 방안 등과 함께 최근 경상수지 및 미국과의 무역흑자 동향 등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 부총리는 "미 재무부가 10월 중순 발표하는 '환율보고서'에서 한국이 환율조작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므누신 장관은 이에 "김 부총리의 상세한 설명과 한국 정부의 노력에 감사한다"며 "앞으로도 양국 당국 간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희망한다"고 답했다.

미 상무부의 자동차 안보영향 조사와 관련해서도 얘기가 오갔다. 김 부총리는 우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에서 자동차분야 협상이 잘 마무리됐다는 점을 지적했다.

김 부총리는 "양국 자동차 산업은 상호보완적으로 상업용 차량에 국가안보를 적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한국의 자동차 산업은 미국 현지에 100억 달러 이상 투자하고 11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미국 경제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뉴시스

【서울=뉴시스】 IMF/WB 연차총회 참석차 인도네시아 발리를 방문 중인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2일(현지시각) 웨스틴호텔에서 스티븐 므누신 미국재무장관과 회의장에 입장하고 있다. 2018.10.12.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어 김 부총리는 한국 자동차가 미국 자동차 안보영향조사 결과에 따른 관세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도록 므누신 장관의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므누신 장관은 "김 부총리의 설명과 요청을 충분히 이해한다"며 "미국 정부 내부적으로 김 부총리의 요청을 잘 반영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답변했다.

이밖에 김 부총리는 한국에 대(對)이란 제재 예외국 인정과 함께 현행 원화결제 시스템의 유지를 미국 측이 긍정적으로 검토해 줄 것도 요청했다.

므누신 장관은 "향후 관련 자료와 의견 교환을 통해 충분히 협의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한편 양측은 남북 및 북미 간 정상회담 등을 계기로 한반도 평화 및 북미대화 재개 여건이 조성된 것을 높이 평가했다.

kimkw@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