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美재무부, 中 환율조작 증거 못 찾았다-블룸버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주동 기자] [미국 재무부, 15일께 환율보고서 공개하고 중국 등 환율조작국 여부 지정]

머니투데이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 추이. /출처=블룸버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재무부가 중국의 환율 조작을 인정할 근거를 찾지 못했다고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2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최근 위안화 가치 추락에 따라 미국 정부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가능성은 계속해서 제기돼왔다.

보도에 따르면 재무부 관계자는 "중국은 위안화 환율을 조작하고 있지 않다"고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에게 의견을 전했다. 블룸버그는 므누신 장관이 이 의견을 받아들이면 중국과의 무역 전쟁 확대를 피하고 시장 우려도 덜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재무부는 1년에 두 차례 환율보고서를 내고 교역 상대국의 환율 조작 여부를 판단한다. 올해 하반기 보고서는 15일께 나올 것으로 보인다.

위안화 가치가 최근 급락하자 미 언론들은 중국의 환율 조작국 지정 가능성이 커졌다고 보도해왔다. 므누신 장관은 "재무부가 7월부터 위안화 약세 문제를 우려해왔다"고 말한 바 있고, 이날 블룸버그에도 "위안화 절하를 의도적으로 이용하지 않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중국 입장에서는 위안화 가치가 내려가면 수출 가격이 싸져 미국의 관세 효과를 방어할 수 있다.

위안화는 12일 고시환율이 달러당 6.9120위안으로 9거래일 연속으로 상승했으며(가치 하락), 최근 6개월 동안 위안화 가치는 9%가량 떨어졌다.

환율보고서는 2015년 제정된 교역촉진법에 따라 △현저한 대미 무역수지 흑자(200억 달러 초과) △상당한 경상수지 흑자(GDP 대비 3% 초과) △환율시장의 한 방향 개입 여부(GDP 대비 순매수 비중 2% 초과) 등 3가지 모두에 해당되는 국가를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다.

지난 4월 환율보고서는 중국이 이중 1가지가 해당된다고 보고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했다. 만약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양국은 1년의 협상기간을 가진다.

김주동 기자 news93@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