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연간 9만명 이용 혈액투석실 관리기준 부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 혈액투석실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1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전혜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혈액투석을 받은 환자는 8만7788명으로 2011년 6만2974명에 비해 7년간 40% 가까이 늘어났다.

혈액투석기를 보유한 의료기관도 같은 기간 770개에서 993개로 22% 늘었다. 진료비 증가 폭은 더욱 크다. 지난해 혈액투석에 지출된 의료비는 2조3730억원으로 2011년 1조4469억원보다 64% 증가했다.

연간 9만명에 가까운 환자가 2조4000억원을 의료비로 지출하며 혈액투석실을 이용하고 있지만 정작 운영 관리 실태는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평원의 '제5차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 결과 보고'에 따르면 평가대상 기관 799곳 중 23.7%에 해당하는 189개 기관에는 혈액투석 전문의가 없었다. 요양병원은 더 심각했다. 95개 평가대상 기관 중 58곳(61%)이 혈액투석 전문의도 없이 운영되고 있었다.

응급장비(산소공급장치·심장제세동기)를 보유하지 않은 평가대상 기관도 총 70곳으로 전체의 8.8%를 차지했다. 혈액투석을 받는 도중 사망하는 환자의 47%와 복막투석을 받는 중 사망하는 환자의 46%가 심혈관계 질환으로 사망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관련 의료장비 미비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전 의원은 "현재 미국과 독일, 홍콩 등은 전문가 집단과 정부가 협력해 인력과 장비에 대한 규제를 하고 있다"며 "특히 독일의 경우 정기적 검사를 통해 혈액투석실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보험 지급에 반영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우리도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서진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