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전원책, "김무성, 홍준표 전대 출마 고집은 무덤파는 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김무성 자유한국당 의원과 홍준표 전 대표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유한국당 전원책 조직강화특별위원이 당내 김무성 의원과 홍준표 전 대표의 전당대회 출마설에 대해 “본인들이 큰 그릇이라면 빠지고, 끝까지 고집하면 본인들 스스로가 무덤을 파는 일이 된다”고 경고했다.

전 위원은 11일 오전 라디오 인터뷰에서 “(전대 불출마가) 화합으로 가는 길이고, 대의를 위해서는 소의를 희생할 수 있는 분들”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홍 전 대표에게 칼을 휘두를 수 있냐’는 질문에 “당연하다”면서도 “다만 기준을 만들어 놓으면 수능 시험을 치는 것도 아닌데 나중에 ‘점수를 공개하자’는 얘기가 나오기 때문에 기준이 없는 것이 기준”이라고 덧붙였다.

중앙일보

자유한국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외부위원으로 내정된 전원책 변호사가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어 그는 “욕이 마구 쏟아질 때 칼을 뽑아야 한다. 둔도장예(鈍刀藏銳)라고, 둔한 칼이 예리함을 감추고 있다”고 말했다. 전 위원은 당 지도부가 ‘십고초려’라는 표현까지 사용하며 영입했고,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은 “(조강특위에) 전례 없는 권한을 주겠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이날 전 위원의 발언은 사실상 당 지도부와 교감 아래 진행된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중앙일보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과 조직강화특위 위원들이 11일 국회 본청 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내부위원 김성원 조직부총장, 김석기 전략기획부총장, 김용태 사무총장, 김 비대위원장, 외부위원 전원책 변호사, 강성주 전 포항 MBC 사장, 이진곤 전 자유한국당 윤리위원장. 전주혜 변호사는 불참했다. [변선구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한국당은 이날 오전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에서 조강특위 인선안을 의결했다. 총 7명의 위원 중 외부위원에는 전원책 변호사를 비롯해 이진곤 전 국민일보 주필, 전주혜 변호사, 강성주 전 포항 MBC 사장 등이 합류했다. 내부 인사인 김용태 사무총장, 김석기 전략기획부총장, 김성원 조직부총장은 당연직으로 참여한다. 조강특위는 한국당의 ‘물갈이’ 작업을 주도하게 된다.

조강특위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전 위원은 “신인은 우대하겠지만, 특별히 여성에게 가산점을 주고, 청년 대표를 뽑는 일은 반대한다”고 밝혔다. 또 “신인 우대는 현행 20%에서 30%, 혹은 파격적으로 50% 우대로 할지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누구 ‘키즈(Kids)’라는 말 자체가 명망가 정치의 뿌리”라며 “다시는 이 당에 (그런 말이) 나와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병역의 의무, 납세의 의무를 다하지 못한 인사가 명색이 보수주의 정당에서 국회의원이 되겠다는 건 어불성설”이라고도 했다.

중앙일보

윤여준 전 국회의원.[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만 당 안팎에선 조강특위의 행보를 두고 김병준호의 인적쇄신 ‘외주화’라는 반발이 나온다. 10일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전원책의 칼자루는 허세”라며 “한국당이 변화 동력을 잃었는데 조강특위가 특별히 무슨 일을 하겠냐”고 비판했다. 당내에서도 “한시적 조강특위가 인적쇄신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한 친박계 의원은 “지금은 보수가 힘을 합칠 때지 또다시 내전을 벌일 때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에대해 김 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최종적 책임은 비대위에 있다. 쇄신은 기한과는 상관없다”며 “인적 청산보다는 좋은 인물을 얼마나 받아들이느냐가 문제”라고 말했다.

유성운ㆍ성지원 기자 pirate@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