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치매 전단계 경도인지장애 5년간 3배 급증…"여성이 2.2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치매 환자도 66% 늘어…"경도장애 치료 안하면 치매로 악화"

연합뉴스

치매 어르신 위한 기억다방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지난 5년간 3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로 병원 치료를 받는 환자도 5년 만에 66%나 증가했다. 경도인지장애와 치매 환자는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이상 많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경도인지장애와 치매 질환의 2012∼2017년 건강보험 진료비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경도인지장애로 진료받은 인원은 2012년 6만3천명에서 2017년 18만6천명으로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은 24.2%로 진료 인원은 5년 만에 3배가 늘었다.

작년 환자 중 여성은 12만7천명, 남성은 5만9천명으로 여성이 2.2배 많았다.

연령별 10만 명당 진료 인원은 80대 이상이 2천895명으로 가장 많았고, 70대 2천404명, 60대 868명, 50대 213명 순으로 많았다.

경도인지장애는 일상생활능력은 유지되나 인지기능은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치매에 걸릴 위험이 높은 상태이며, 경도인지장애 진단을 받은 환자의 80%가 5년 이내에 치매로 전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으로는 기억장애가 가장 흔하고, 언어능력, 길 찾기 능력, 성격변화 등이 있다. 이 질환의 원인은 알츠하이머병, 뇌경색, 뇌출혈 등으로 치매의 모든 원인이 경도인지장애에도 해당된다.

연합뉴스

2017년 '경도인지 장애' 질환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치매로 진료받은 인원은 2012년 29만6천명에서 2017년 49만1천명으로 연평균 10.7%, 5년간 66% 늘었다.

작년 환자 중 여성은 35만명, 남성은 14만1천명으로 여성이 2.5배 더 많았다.

연령별 10만명당 진료 인원은 80대 이상이 2만811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70대 4천869명, 60대 600명 순이었다.

치매는 인지장애가 서서히 진행해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힘든 상태를 말한다. 기억과 언어, 길찾기, 계산에서 장애를 보이고, 폭력적인 성향과 의심하는 증상, 환각, 환청 등이 나타난다.

경도인지장애와 치매 질환자 가운데 여성이 많은 이유는 두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는 알츠하이머병이 여성에게 더 많이 발병하기 때문이다. 또 여성의 수명이 더 긴 것도 원인이다.

김종헌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경도인지장애 질환을 치료하지 않으면 치매로 빨리 전환될 수 있고, 치매 환자를 방치하게 되면 병의 진행이 더 빨라지고 삶 자체가 유지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표] 연도별 건강보험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진료실인원 현황

(단위 : 명)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withwit@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