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올해 해외유입 감염병 35% 늘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 들어 해외에서 유입한 감염병 발병 사례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해외 유입 감염병 사례는 2010년 이후 매년 400명 내외로 신고됐으며 올해는 지난 17일까지 총 507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374건)과 비교해 35.6% 증가한 수치다.

주요 해외 유입 감염병은 콜레라, 세균성이질, 장티푸스 등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과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치쿤구니야열 등 모기매개 감염병이 많다. 중동과 중국에서는 각각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과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AI) 발생이 지속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질본은 추석연휴 기간 동남아시아를 방문하는 국내 여행객이 많아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과 모기매개 감염병 발생이 늘어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 해외에서 유입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은 세균성이질이 133명으로 가장 많았고 장티푸스 69명이었다. 모기매개 감염병은 뎅기열 152명, 말라리아 32명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열대열 말라리아는 치명률이 높은 질병으로 해외 위험지역 여행 전 의사와 상담 후 예방약을 복용하고 여행 후 고열이나 오한, 기침, 설사 등의 증상 발생 시 즉각 의료기관에서 검사·진료를 받아야 한다. 열대열 말라리아 치명률은 치료하지 않을 때 10%이며 치료 시에도 0.4~4%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지카바이러스 감염증도 올해 2건이나 발생한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이 감염증은 소두증 신생아 출산 가능성이 있는 만큼 임신부나 임신 계획이 있는 사람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 여행을 자제해야 한다.

이번에 확진자가 발생했던 메르스도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감염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만큼 중동지역 여행자들은 낙타 접촉이나 생낙타유 섭취 등을 금해야 한다.

질본 관계자는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을 방문한 후 입국할 때에는 건강상태질문서를 반드시 작성해야 한다"며 "이상증상 발생 시 질본 콜센터로 연락해 상담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진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