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장하성 바꾸면 정책실패 자인, 김동연 내치면 불통 시그널… 청와대의 딜레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말까지 고용 개선 지켜볼 듯

당분간 김&장 모두 유임 무게
한국일보

고용상항 관련 긴급 당정청회의가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리고 있다. 오른쪽부터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정책위의장, 홍영표 원내대표,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배우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의 갈등설이 또다시 제기되면서 청와대가 속앓이를 하고 있다.

일단 청와대는 경제정책 기조에서 두 사람의 의견 차이는 없다며 진화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20일 춘추관 브리핑에서 “(갈등설) 그 문제를 언론에서 너무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는 게 아닌가 싶다”며 “두 분이 하시는 말씀이 어떻게 단어 하나, 문장 하나 똑같을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책 판단을 내리려면 건강한 갈등도 필요하다”며 “두 사람의 입장 모두 정책 판단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대통령이 어느 한 사람 손을 들어줄 수 없는 것”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일자리안정기금 투입 등에 따른 고용지표 개선 여부는 연말까지 지켜봐야 한다는 게 청와대의 상황 판단이다. “정부 대책이 시행되면 연말에는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는 장 실장 입장에 더 가까운 셈이다. 앞서 문 대통령은 6월 말 경제ㆍ일자리수석을 교체하면서도 소득주도성장 책임자인 장 실장은 유임시킨 바 있다. 이런 상황에 장 실장을 교체할 경우 정책 실패를 자인하는 셈이 되기 때문에 함부로 인사를 할 수 없는 사정도 있다. 여러모로 볼 때 장 실장 쪽으로 팔이 굽는 분위기다.

반면 김 부총리에 대해선 잇따른 정책기조 변경 발언이 책임회피를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의심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청와대 참모들 사이에선 김 부총리에 대한 배신감도 상당하다고 한다. 정부 출범 후 김 부총리 소외설이 나돌 때 대통령 월 1회 독대 자리를 만든 사람이 장 실장이고, 대외적으로도 김 부총리를 경제정책의 원톱으로 내세우면서 청와대는 후방지원에 머무는 구도를 만든 사람도 장 실장인데, 김 부총리한테 당하는 모양새를 이해 못하겠다는 불만이 적지 않다고 한다. 여권 관계자는 “혁신성장, 규제혁신 책임을 맡은 김 부총리가 성과를 제대로 내지 못해 6월엔 규제혁신회의가 취소되고 이후 대통령이 직접 나서지 않았느냐”며 “혁신성장도 제대로 못 하면서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이러니저러니 하는 건 문제”라고 꼬집었다.

다만 청와대가 김 부총리 거취를 본격적으로 거론하는 분위기는 아니다. 김 부총리만 경질했다간 청와대가 경제실정 비판에 귀를 닫고 있다는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어서다. 문재인 대통령이 이날 ‘완벽한 팀웍’을 강조하면서 “결과에 직을 건다는 결의로 임하라”고 주문한 것도 당분간은 두 사람 모두 유임이 불가피한 사정을 고려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정상원 기자 ornot@hankookilbo.com

정지용 기자 cdragon25@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