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장군 2명 등 기무사 간부 26명 2차 원대 복귀…추가 복귀 이어질 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장군 2명 등 국군기무사령부 간부 26명이 13일자로 육·해·공군의 원 소속부대로 복귀조치 됐다.

지난주 계엄령 문건 작성 태스크포스(TF) 책임자였던 소강원 참모장(육군 소장)과 계엄령 문건에 딸린 '대비계획 세부자료'를 작성한 것으로 알려진 기우진 5처장(육군 준장)이 원대복귀 조치된 이후 2차 원대복귀다.

2차 원대복귀자는 계엄령 문건 작성과 세월호 민간인 사찰, 댓글공작 등 이른바 '3대 불법행위'에 연루된 이들이다.

군 소식통은 "불법행위 연루자 중 책임자급을 우선 원대복귀 조치하는 것"이라며 추가 원대복귀 조치가 있을 것임을 시사했다.

다만 "계엄령 문건 작성과 세월호 민간인 사찰, 댓글공작 등에 관여했다고 바로 원대복귀 조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연루된 정도와 책임 여부 등을 따져가며 원대복귀 조치가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현재 군은 다음 달 1일 기무사를 대신하는 군 정보부대인 군사안보지원사령부(이하 안보지원사) 창설을 앞두고 4200명인 기무사의 인원은 2900여 명으로 줄이는 작업 중이다. 감축 인원 상당수가 불법행위 연루자로 현재 관련자 명단을 작성 중이다.

3대 불법행위 관련자 중 댓글공작에 연루된 인원이 수백 명에 달해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 직후 구성된 기무사 세월호 TF에는 60여 명이 참여했고, 이들은 대부분 현직 기무사 요원인 것으로 전해졌다. 작년 2월 구성된 기무사의 계엄령 문건 TF에는 소 참모장과 기 처장을 포함해 16명이 참여했다.

오는 14일 국무회의에서 안보지원사령부 창설(대통령령)이 의결되면 안보지원사 창설준비단은 육·해·공군 원 소속부대로 돌아갈 인원과 안보지원사에 남을 인원을 선별하는 작업에 본격 착수할 예정이다.

박태훈 기자 buckba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