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산악기상관측망 확충으로 '산림재해' 방지 및 '신산업' 창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대전=허재구 기자] [산림청, 2022년까지 420개소 확충… 국민 공감형 산악기상 서비스 제공]

머니투데이

산악기상관측망 맞춤형 활용 체계도./자료제공=산림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토의 64%가 산림인데다 복잡·다양한 산악지형을 지닌 우리나라의 경우 봄·가을철이면 산불로, 태풍과 장마가 겹치는 여름철이면 산사태 등의 산림재해로 막대한 피해가 초래된다.

산악지역의 기상을 미리 예측, 예방할 수 있다면 이 같은 피해를 줄일 수 있겠지만 평지보다 풍속은 3배 더 강하고 강수량은 2배나 많은 지역 특성상 우리가 흔히 접하는 기상정보로는 한계가 있는 게 현실이다. 하지만 2012년 30개소를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전국에 200개소의 산악기상관측망이 설치되면서 지난 2016년 기준(150개소 설치) 산림재해 예측력이 87%에 달할 정도로 정확해졌다.

이 같은 예측력은 2년 전(90개 설치) 대비 10%포인트 향상된 것이다. 산림청은 산림재해 예측이 정확해지면서 연간 200억 원의 산림재해 피해복구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머니투데이

산악기상정보 융합을 통한 산림재해 예측 정확도 향상과 효율적 활용 모식도./자료제공=산림청


이 관측망은 산악지역의 풍속과 강수량 등 실시간으로 관측한 주요 기상정보를 구글 오픈 API기반의 인터넷과 스마트폰용으로 개발된 '산악기상정보시스템'을 통해 제공한다.

이들 정보는 산림재해 방지는 물론 집중호우 감시, 산림휴양 날씨제공, 산악 비즈니스 맞춤형 정보서비스 제공, 등산객들의 사고예방 등에 활용되며 '똑똑한 산림지킴이'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갖춰진 산악기상관측망 및 관리체계로는 갈수록 심각해 지고 있는 이상기후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게 산림청의 시각이다. 게다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산림관광 수요 등에 부응하기 위해서도 전국에 총 600개 이상의 산악기상 관측망 설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오는 2022년까지 265억여 원의 사업비를 들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420개소의 산악기상관측망 확충에 나서기로 했다.

머니투데이

지난해 기준 산악기상관측망 구축 현황./자료제공=산림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2019년까지 산악지역의 상세 기상·기후 정보 생산 기술 개발 및 이상기상 평가 체계 구축 등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어 2022년까지 고성능컴퓨팅(HPC)기반의 정밀 산림기후 평가 모델과 기상위성 기반의 산악기상 정보 생산 및 활용기술을 개발하고, ICBAM(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산림재해 영향 예보 체계 등도 마련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산사태 경계 피난 알림시스템 △산림병해충 확산 예측 시스템 △산악활동지수 △임산물 피해 영향지표 등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산악기상 서비스 등을 제공하겠다는 것. 이 경우 '산림재해 예측 고도화'는 물론 △생활안전 △농업 △산림 △레저 △기상산업 △재해와 연관된 '산악기상 신산업 창출' 등 일석다조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산림청은 기대하고 있다.

산림청 관계자는 "산악기상관측망은 재해예방은 물론 레저나 휴양을 넘어 국방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아 확충이 필요하다" 며 "특히 이들 시설의 원활한 운영·관리가 가능토록 '산악기상관측센터(가칭)' 등 전담조직도 확보해 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허재구 기자 .@.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