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벼 갉아먹는 먹노린재 막아라…옥천서 2년째 기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친환경 논에 작년보다 보름 일찍 출현 방제 비상

(옥천=연합뉴스) 박병기 기자 = 벼 줄기에 달라붙어 즙을 빨아 먹는 먹노린재가 충북 옥천지역 친환경 벼 재배 논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번지고 있다.

연합뉴스

옥천군 안남면 친환경 벼에 달라붙은 먹노린재 [옥천군 농기센터 제공=연합뉴스]



21일 옥천군 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최근 안내·안남·청산·청성면 일대 친환경 벼 재배 논 6㏊를 예찰해 절반에 달하는 3㏊에서 먹노린재 출현을 확인했다.

먹노린재는 1971년 국내에서 처음 보고된 돌발 해충이다. 몸길이 0.8∼1㎝에 검은색을 띠고 있어 얼핏 봐 서리태(검은콩)와 비슷하다.

통상 6월 하순 논에 날아들어 7∼8월 알을 낳는 데, 이 무렵 벼에 피해를 줘 말라죽게 하거나 쭉정이로 만든다. 대개 논 주변 산림과 수풀에서 월동하기 때문에 한 번 발생하면 여러 해에 걸쳐 피해가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

이 지역에는 작년에도 먹노린재가 집단 발생해 약 400㏊의 논에 피해를 줬다.

일부 논은 70% 가까이 벼 수확량이 줄어드는 피해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예찰에서 처음 먹노린재가 확인된 날은 7월 4일이다. 올해는 이보다 보름 가까이 출현 시기가 앞당겨졌다.

연합뉴스

옥천군 안남면 친환경 논에 출현한 먹노린재 [옥천군 농기센터=연합뉴스]



먹노린재 피해 확산에 대비해 옥천군은 지난 20일 긴급 방제협의회를 열고 이달 말까지 친환경 방제약품을 공급할 계획이다.

그러나 친환경 농경지에 주로 발생해 방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군 관계자는 "친환경 농경지는 공동방제를 할 수 없는 곳이어서 농가마다 친환경 방제약품을 나눠줄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먹노린재 방제 효과를 높이려면 산란기 이전 약을 뿌려야 한다"며 "이 해충이 작은 소리나 충격에도 물속으로 숨는 습성이 있는 만큼 논물을 뺀 뒤 해 질 무렵 약제를 살포해달라"고 당부했다.

bgipark@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