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필립모리스, "아이코스 덜 해로워, 식약처 타르 측정은 오류"(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조성훈 기자] [식약처 전자담배 유해성 결론 오류 주장하며 해명촉구...6개월 임상연구 결과도 공개]

머니투데이

PMI 과학연구 최고책임자인 마누엘 피취 박사가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아이코스에 대한 인체노출 반응 연구의 긍정적인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필립모리스가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아이코스 최신 임상연구 결과 발표회'에서 권련형 전자담배인 아이코스(오른쪽)와 시험용 표준담배에서 나오는 연기에 노출된 필터패드를 비교해 보여주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궐련형 전자담배의 유해성 논란과 관련, 한국필립모리스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조사방식에 대해 오류를 주장하고 해명을 요구했다. 아울러 아이코스 흡연자의 질병발병 위험이 줄었다는 내용의 자체적인 임상연구 결과를 공개하며 전자담배가 일반담배 만큼 유해하다는 식약처의 연구결과를 반박했다.

한국필립모리스는 18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식약처가 지난 7일 유해성 조사결과 궐련형 전자담배의 유해성분 9종의 함유량이 국내 판매되는 일반담배에 비해 평균 90% 적은 것으로 확인됐음에도 식약처가 이러한 분석결과를 배제하고 타르수치 비교에만 초점을 맞췄다"며 해명을 요구했다. 아울러 필립모리스는 "세계보건기구(WHO)와 유럽연합(EU) 등이 타르가 소비자들을 오도할 수 있는 잘못된 개념이라고 규정한 견해도 무시했다"고 비판했다.

앞서 식약처는 "궐련형 전자담배의 니코틴 함유량이 일반 담배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2개 제품의 경우 타르의 함유량이 일반 담배보다 높게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반면 벤조피렌 등 WHO가 지정한 9개 발암물질은 일반 담배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관련 필립모리스는 "WHO가 '타르는 담배규제에 대한 확실한 근거가 아니기 때문에 측정할 필요가 없으며 타르 수치는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고 분명한 입장을 밝혀왔다"고 밝혔다. 타르 수치는 잔여물의 단순 무게(mg)이므로 독성물질과 그렇지 않은 잔여물이 어떻게 구성돼 있는지를 보여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필립모리스는 독일 연방위해평가원(BfR)을 비롯한 해외 보건기관들이 '궐련형 전자담배의 증기가 일반담배 연기와 질적으로 매우 다르다'며 타르를 비교 대상으로 삼지말라 권고한 것도 이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런데도 식약처가 타르 수치 비교를 강조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필립모리스는 특히 "식약처는 타르 수치를 계산할 때 제품의 특성상 수분 측정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알면서도 측정 방법을 보완하지 않았다"고 조사방법론에 대해서도 문제점을 지적했다.

일반담배의 연기와 달리 궐련형 전자담배의 증기는 수분량이 80%가 넘어 정확한 수분량 측정이 매우 중요하며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제대로 측정하지 않으면 측정과정에서 증발량이 늘게 되고 그 증발한 수분량이 타르 수치로 둔갑한다는 설명이다.

필립모리스는 "식약처의 기자회견에 참가한 시험분석평가위원장(신호상 공주대 교수)의 발언을 보면 측정방법을 보완하는 조치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의문을 제기했다.

필립모리스는 이날 1000여명의 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6개월 임상연구 결과도 공개했다. 연구는 미국 성인 흡연자 984명 중 절반가량인 496명이 아이코스로 전환하고, 나머지 488명은 일반 담배 흡연을 유지하며 6개월간 신체 반응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연구결과 6개월 뒤 아이코스로 전환한 흡연자들은 8가지 신체평가지표(주요 임상 위험 평가지표)가 모두 개선됐다. 특히 5가지 주요 임상 위험 평가지표는 계속 흡연한 사람과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아이코스를 사용할 경우 암 발병의 원인이 되는 'Total NNAL' 물질은 일반 담배를 피울 때보다 43.5%나 줄었고, 호흡기 질환의 원인인 'FEV1 %pred'는 1.28%pred 차이를 보였다.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는 물질인 'HDL-C'(3.09mg/dL)와 'WBC Count'(-0.420 GI/L), 'slCAM-1'(2.86%), '11-DTX-B2'(4.74%)도 아이코스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 것으로 확인됐다. 모든 질병의 원인으로 꼽히는 '8-epi-PGF2a'(6.80%)와 'COHb'(32.2%) 수치도 유의미하게 줄었다.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 과학연구 최고책임자인 마누엘 피취(Manuel Peitsch) 박사는 "연기 없는 제품의 위험도 감소 가능성을 직접적으로 평가한 최초의 대규모 임상연구"라면서 "일반담배 흡연보다 아이코스로 전환하는 것이 담배의 위험도를 줄인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이정표를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필립모리스는 이번 임상연구 결과를 지난 8일 ‘위험감소담배제품(MRTP)’으로 판매 승인을 검토 중인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했으며 추후 식품처를 비롯한 국내 관련 부처에도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필립모리스 김병철 전무는 “더 이상 혼란을 막기 위해서라도 식약처는 이미 궐련형 전자담배로 전환한 이들이나 이를 고려하는 흡연자들에게 궐련형 전자담배의 유해물질이 일반담배 대비 현저히 감소했다는 사실을 명확히 밝혀야 할 것”이라며 “흡연자들에게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 받을 권리가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식약처 관계자는 “궐련형 전자담배 유해물질 측정은 여러 전문가들로부터 자문을 받아 한 것으로 방식에 문제는 없었다”고 필립모리스의 주장을 일축했다. 식약처와 함께 실험을 주도한 신호상 공주대 교수 역시 필립모리스 주장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밝혔다. 신 교수는 “식약처 실험은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국제공인분석법(ISO)과 헬스캐나다(HC) 방식으로 조사했다”며 “정부가 국제 기준이 아닌 필립모리스가 주장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했어야 하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조성훈 기자 search@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