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문 대통령 "핵 실험장 폐기=비핵화 시작"…북·미에 신뢰심기 가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의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선언을 '비핵화 시작'으로 규정했습니다.

다음 달 개최되는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북미 정상 사이에서 중재 역할에 더욱 공들이는 모습입니다.

문 대통령은 14일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를 국제사회에 투명하게 공개하기로 한 것을 환영한다"며 "이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초기 조치로, 비핵화가 시작됐다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했습니다.

이러한 평가는 북한이 보여주고자 하는 비핵화 의지를 '보증'함으로써 자신의 중재 역할과 북한에 대한 미국의 신뢰를 두텁게 하고자 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북한의 이 조처를 두고 트위터를 통해 "매우 똑똑하고 정중한 몸짓"이라고 평가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백악관 일각에선 북한이 핵실험장 폐기 현장에 전문가를 초청하지 않은 걸 놓고 '국제전문가들에 의한 사찰과 충분한 검증이 북한 비핵화의 핵심 조치'라며 여전히 의구심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문 대통령이 북한의 조치를 비핵화의 시작으로 정의한 것은 미국에 그와 같은 의구심은 거두어도 좋다는 메시지를 발신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 대통령이 회의에서 "북한이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을 위해 상당한 성의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만하다"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보입니다.

또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북미정상회담을 성공하게 하기 위한 준비가 양국 간에 잘 진행되고 있다. 전 세계가 한마음으로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을 바라고 있다"라는 언급도 문 대통령의 생각을 가감 없이 보여준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북한을 향해 비핵화를 성실히 이행하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해제와 체제보장이라는 그들의 요구사항도 수용될 거라는 뜻을 내포한 발언 아니냐는 것입니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이 남북정상회담 때 제게 약속했던 사항들을 하나하나 성실하게 이행하고 있다는 점도 높이 평가한다"고 말한 것 역시 북미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담당하는 자신을 믿고 따라와 달라는 의지로도 비칩니다.

[조민성 기자 mscho@sbs.co.kr]

☞ [나도펀딩] 한효주가 인스타그램에 올린 그림
☞ [2018 남북정상회담, 그 이후] '평화의 길목에서'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