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6 (수)

일본, 고독사 뒤처리 ‘특수청소업체’ 급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택 소독·유품 정리 등 10년 전보다 15배 증가

강좌·민간자격증도 성행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 긴키(近畿·혼슈 서부) 지방을 중심으로 ‘특수청소’를 맡아 하는 ‘메모리즈’의 요코오 마사토미(橫尾將臣) 대표에게는 지금껏 잊히지 않는 현장이 있다.

8년 전 일이다. 오사카(大阪) 시내의 한 독채에서 집주인인 60대 남성이 목욕탕에서 ‘고독사(孤獨死)’했다. 요코오 대표는 이 남성과 소원했던 친족의 의뢰로 현장 정리를 하러 갔다.

숨진 남성은 이웃들과 사귀는 것도 피했다고 한다. 부엌과 거실에는 막 뜯은 편의점 도시락이 흩어져 있었다. 냉장고에는 자신에게 들려주기라도 하려는 듯 검정색 펜으로 쓴 글이 적힌 종이가 붙어 있었다.

‘내일도 또 살아 보이겠다고, 쌀을 씻는다.’ 요코오 대표는 “살고자 했던 흔적을 보자 ‘이런 최후밖에 없었을까’ 하고 애달파졌다”며 한숨을 쉬었다.

일본에서 고독사한 사람의 자택을 청소·소독하고 원상 회복시키는 ‘특수청소업자’가 급증하고 있다. ‘특수청소사’ 자격증을 따는 이들이 크게 늘고 있고, 해당 업계 단체도 설립됐다. ‘메모리즈’에는 매월 150건 가까운 ‘특수청소’ 의뢰가 들어온다. 의뢰건수는 10년 전에 비해 15배나 증가했다.

14일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전국에 5000개 이상의 특수청소업자가 있다. 이는 관련 단체가 민간 자격의 인정제도를 시작한 5년 전에 비해 15배 넘게 팽창한 것이다.

특수청소업자는 고인의 자택 관리인이나 친족으로부터 의뢰를 받아 청소와 소독을 한다. 유품 정리를 떠맡아 하는 경우도 있다. 고독사의 경우 뒤늦게 유체를 발견하게 되면 실내의 냄새나 오염이 심해지는 문제가 생긴다. 특수청소업자는 특수약품과 살충제, 전기톱 등을 사용해 실내를 원상 회복하는 작업을 한다. 감염증 예방을 위해 방호복을 입고 작업하는 경우도 많다.

당초 ‘특수청소’는 일부 재활용업자나 이사업자가 시작했지만, 최근 장의업자나 폐기물 처리업자 등 폭넓은 분야의 업자가 참가하고 있다. 다만 악질 업자에 의한 고액 요금 청구나 조잡한 작업을 둘러싼 문제가 적지 않게 발생했다. 이런 업계의 건전화를 목표로 2013년 사건현장특수청소센터가 설립됐다.

이 센터는 민간 자격의 ‘특수청소사’ 인정제도를 창설했다. 유족 대응과 질 높은 청소 방법 등을 주제로 약 2개월간의 통신강좌를 받고, 시험에 합격하면 ‘특수청소사’ 자격을 얻게 된다. 2013년 ‘특수청소사’ 자격 취득자가 재적하고 있는 업체는 326개사였지만, 지난해 말 현재 5269개사로 급증했다.

특수청소업 ‘활황’의 배경에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일본에서 혼자 사는 노인은 증가한 반면, 가족·친족 관계는 갈수록 소원해지면서 이들의 사후 유품 정리 등이 사회 문제로 떠오르면서다. 일본 후생노동성의 국민생활기초조사 등에 따르면 2016년 혼자 사는 고령자 수는 655만명으로 추산된다. 10년 전보다 60%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반면 핵가족화 등 영향으로 일본 전국에서 고독사가 잇따르고 있고, 이들의 사후 뒤처리가 집주인이나 지역사회 현안으로 떠오른 상황이다. 집주인들이 고독사로 인해 입는 손실을 메워주는 고독사 보험도 나온 상황이다. 오네 히데토(小根英人) 사건현장특수청소센터 사무국장은 “앞으로도 수요는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쿄 | 김진우 특파원 jwkim@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