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의 접수·조사 정보 주고받아
학연·지연·혈연 등 매개로 연결
몰래 혜택 주고 퇴직 뒤 재취업도
시민단체 “업무방해죄로 처벌해야”
정대화 상지대 교수가 2014년 9월17일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 회의실에서 사학 비리 및 비리 재단에 대한 총력투쟁을 선포한 범교수·교육·시민단체들과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4일 교육부 현직 간부가 사학비리 제보자 이름과 구체적 내용을 몰래 빼내 거꾸로 해당 대학에 알려준 사실이 드러나면서, 일부 교육 공무원과 사학의 ‘부적절한 거래’가 다시 도마에 오르고 있다. 시민사회단체에서는 이를 단순히 공직윤리 문제로 다룰 것이 아니라, 업무방해죄 등으로 강도 높게 처벌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날 교육부 안팎의 말을 종합하면, 이아무개 교육부 서기관은 지난해 11월 이후 일부 대학 관계자들에게 교육부 누리집 국민제안센터 등에 접수된 ‘사학 비리 세부 사항’을 전해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사실은 지난해 11월 ‘100억원대 회계부정 의혹’으로 실태조사를 받았던 수원대 이인수 전 총장 쪽에서 이 서기관을 통해 당시 제보자 색출 작업을 했다는 의혹을 두고, 교육부 반부패청렴담당관실이 조사하는 과정에서 드러났다.
교육부 쪽은 이 서기관이 사학비리 제보를 확인하는 교육부 온라인 시스템에 접속해 ‘제보자 신원 및 비리 의혹 세부사항’을 출력물 형태로 뽑아 대학 쪽에 전달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이 서기관은 수원대 관계자한테 제보자 이름 등을 알려준 사실을 부인하면서도, 교육부에 제보된 다른 사학비리는 해당 대학에 귀띔해줬다고 인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계 안팎에서는 교육부 보안 사항이 ‘여러 사람의 손을 타는’ 과정에서 대학에 흘러가는 사례가 훨씬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서기관도 당시 사학비리와 관계없는 업무를 맡았지만, 수원대 등 일반대와 관련한 ‘비밀 제보’를 손쉽게 파악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사학비리 척결’ 전담 기구로 출범했던 교육부 사학혁신추진단(현재 사학혁신지원과)에는 당시 100건이 넘는 비리 제보가 들어왔다.
교육부 핵심 관계자는 “내부 제보자들이 용기를 내어 제보한 사학비리를 교육부 내부자가 갖다바치는 일을 상상조차 못했다”며 “교육부 내부의 사학적폐 척결 의지가 약하다는 비판이 나오는 상황에서, 내부 제보자에 대한 보호장치조차 마련해놓지 않는 것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답답해했다.
교육부 관료가 현직에 있을 때 사학에 ‘은밀한 혜택’을 제공하고, 퇴직 이후 사립대 재취업 등으로 ‘보상’을 받는 관행도 다시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대학들이 학연·지연·혈연 등을 빌미로 교육 관료들과 ‘해묵은 거래’를 일상화한다는 것이다. 이 서기관과 ‘내부 제보 거래’ 의혹을 받는 수원대 한 관계자도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이 서기관이 나와 같은 학교를 나왔다는 사실을 또다른 대학 관계자한테 들었다. 이후 학교 얘기를 하며 만남을 이어왔다”고 밝힌 바 있다.
안진걸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실행위원은 이번 사건을 두고 “교육비리 척결에 앞장서야 할 교육부가 되레 더 심각한 비리를 저질렀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라며 “내부 제보자의 이름 등을 비리 사학에 제공하는 것은 공직윤리 문제만이 아니라 공무집행방해죄나 공익신고자 보호법 위반 등으로 형사처벌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홍석재 황춘화 기자 forchis@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사람과 동물을 잇다 : 애니멀피플] [카카오톡]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