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김기식 도덕성 논란 '의혹제기→해명' 악순환…술렁이는 금융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에서 취재진에 둘러싸여 질문을 받고 있다. /손진영 기자


김기식 신임 금융감독원장에 대한 도덕성 시비가 끊이질 않으면서 금감원은 물론 금융권 전체가 술렁이고 있다. 연일 새로운 의혹이 제기되면 해명하기 급급한 상황이 반복됐고, 급기야 검찰 고발까지 이어졌다.

자유한국당은 10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김 원장에 대해 뇌물과 직권남용, 공직자윤리법 위반 혐의로 고발장을 제출했다. 바른미래당 역시 이날 김 원장에 대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 및 직권남용 혐의로 고발장을 냈다.

피감기관의 예산을 받은 '외유성 출장'이라는 의혹에 김 원장이 직접 나서서 해명했지만 논란이 가라앉기는 커녕 야당의 공세만 거세졌다.

앞서 자유한국당 정태옥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김 원장 본인이 (피감기관 돈으로) 국외여행한 것은 본인의 뇌물죄에 해당되고, 인턴 여비서를 외유에 동행시킴으로써 혜택을 준 것은 제3자 뇌물죄에 해당될 것"라고 지적하 바 있다.

바른미래당 오신환 의원도 "김 원장이 3차례에 걸쳐 뇌물성 황제 외유를 한 것은 당연히 사법적 처벌의 대상이 된다"며 "검찰은 이 부분에 대해 엄정 수사해서 반드시 사법적 처벌을 받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누구보다 가장 당혹스러운 것은 금감원이다.

자체 채용 비리에 최흥식 전 원장의 불명예 낙마로 이미 도덕성에 많은 상처를 입은 상황에서 김 원장에 대한 논란은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특히나 야당 국회의원, 시민단체 출신인 만큼 도덕성 시비가 불거질 줄은 예상도 하지 못했다는 반응이다.

채용비리나 감독기능 강화 등 최근 금감원의 행보를 감안하면 김 원장 의혹에 따른 타격은 더 크다.

김 원장은 취임사에서 "정책과 감독은 큰 방향에서 같이 가야 하지만 정책기관과 감독기관의 역할은 분명히 다르다"며 금감원의 권한 강화를 내세웠지만 도덕성 시비에 말려 목소리를 더 이상 높이기 힘들게 됐다.

청와대 역시 지지를 표했지만 당혹스럽긴 마찬가지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전일 "의혹이 제기된 해외출장 건들은 모두 공적 목적으로 이뤄진 적법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며 "국민의 기대와 눈높이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지적은 겸허하게 받아들이나 해임에 이를 정도로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 내렸다"고 발표한 바 있다.

금융권도 혼란스럽다는 반응이다. 당초 '저승사자'의 귀환이라는 우려와 달리 피감기관과의 대립 양상이나 도덕성 시비 등에 집중돼 감독방향을 가늠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김 원장은 지난 8일 "국민의 기대와 눈높이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지적에 죄송스런 마음이 크다"고 고개를 숙였다. 그러나 출장비를 댄 기관에 오해를 살만한 혜택을 준 사실은 없으며, 미국·유럽 출장에 동행한 여성 인턴에게 승진 특혜를 준 적도 없다고 적극 해명했다.

안상미 기자 smahn1@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