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인간애와 실천한 의료인이자 경영인'윤대원 학교법인일송학원 이사장 별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국내 의료발전에 기여하고 정직과 인간애를 기반으로 사회복지와 의술보급에 힘썼던 도헌 윤대원 학교법인일송학원 이사장이 25일 오후 4시 20분 경기도 안양시 한림대학교성심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79세.

장례는 학교법인장으로 치르며, 빈소는 경기도 평촌에 위치한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장례식장이다. 장례가 끝난 후 고인은 경기 남양주시 금곡면 선영에 안장될 예정이다.

유족으로는 장남 윤희성 학교법인일송학원 상임이사, 차남 윤희태 도움박물관장, 장녀 윤은주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교수가 있다.

◆국내 최초 췌장이식수술 성공

고인은 1945년 6월 23일 평안남도 용강군에서 윤덕선 학교법인일송학원 설립자의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 가톨릭의과대학에서 의학 석·박사를 마치고 1979년 미국 콜롬비아대학교 외과학교실에서 장기이식과 첨단의학 연구를 섭렵한다. 1980년 귀국 후 그는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외과에서 환자를 돌보며 1985년 한림대학교의료원 최초로 신장이식 수술에 성공했다. 1987년에는 국내 최초로 췌장이식수술에 성공해 당뇨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한국 의학 발전에 공헌했다.

한림대학교한강성심병원장, 한림대학교의료원장을 거쳐 1989년 학교법인일송학원 2대 이사장에 취임하며 한림대학교의료원, 복지관, 한림대학교, 한림성심대학교,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를 본격 지휘한다.

그는 아직 의술 보급이 원활하지 못한 국내에 더 많은 환자를 돌보기 위해 1999년 한림대학교성심병원을 개원하고, 이후 2013년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을 개원했다. 이로써 학교법인일송학원 산하 한림대학교의료원은 5개 대학병원(한림대학교성심병원, 한림대학교한강성심병원,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을 지닌 대규모 기관으로 성장한다.

또 1990년 한림과학원 설립, 1997년 한국컨벤션산업경영연구원 개설, 2004년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를 설립해 인재 양성에도 힘썼다. 그는 이 공로로 1992년 보사부장관(전 보건복지부) 표창장을 수상했다.

◆'한없는 인간애' 의료사회복지 확장

고(故) 윤대원 이사장은 경영기간 동안 의료사회복지 확대에 특히 집중했다. 1991년부터 한국노인보건 의료센터, 성심복지관(현 신림종합사회복지관), 안양복지관 등을 설립 및 개관했다. 또한 영등포노인종합복지관, 화성시 나래울종합사회복지관, 동탄노인복지관 위탁운영 등을 시행했다.

이 기관들은 20년 넘도록 활발히 운영 중이다. IMF외환위기 당시에는 노숙자, 영세민, 결식아동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기도 했다. 2000년 서울 관악구 난곡동 주민을 위해 2000만원을 희사했는데, 이 금액이 종잣돈이 돼 'SOS 기금회'설립으로 이어졌다.

한림대학교의료원 소속 한림대학교한강성심병원은 국내 화상치료의 메카이다. 보건복지부 지정 화상전문병원이며 입체적 치료를 시행하고자 화상환자만을 위한 화상외과, 정신건강의학과, 재활의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고인은 생전에도 "생명을 방치할 수는 없다. 생지옥 같은 화상치료를 누군가는 해야만 한다. 아무도 안 하니까, 우리라도 계속할 수밖에 없다"라고 강조했다.

화상환자의 경우 일상회복까지는 재활 등 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생계에 문제가 생긴다. 윤 이사장은 2008년 화상환자 사회복지만을 위한 한림화상재단을 설립한다. 환자의 치료비 후원은 물론, 소아 환자가 학업을 이을 수 있는 화상병원학교를 운영한다. 화상병원학교 이용자는 2013년부터 2018년까지 1만2755명에 달한다. 해외 현지에서 또는 해외 환자를 국내로 초청해 무료치료를 시행하기도 했다. 2018년까지 베트남 등 8개국 화상환자에게 지원된 진료비는 18억2430만원에 달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