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청와대 “국민투표법 개정, 국회 개헌 의지 확인하는 시금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임종석 비서실장, 국민투표법 개정 촉구

“위헌 방치는 국민의 투표권 박탈하는 것”

“민주주의 훼손이자 국민 권리에 대한 도전”

문 대통령 개정촉구 서한 이번주 국회보내기로



한겨레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청와대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와대는 2년 이상 위헌 상태로 방치된 국민투표법을 개정해달라고 국회에 촉구했다. 현재 국민투표법은 2014년 7월 헌법재판소가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려 국민투표법을 개정하지 않으면,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6일 발의한 헌법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더라도 국민투표가 불가한 상태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7일 입장문을 내어 “국민투표법을 위헌 상태로 방치하는 것은 국민의 투표권을 박탈하는 것으로 당장 헌법 개정은 물론이거니와 필요시 국가 안위에 관한 중대한 정책에 대해 국민의 의사를 직접 물을 수도 없다”며 “이는 헌법이 보장하는 직접민주주의에 대한 심각한 훼손이며 국민의 헌법적 권리에 대한 도전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바로잡지 않고서 헌법기관의 책무를 다한다고 볼 수 없으며 국회의 직무유기라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강조했다.

임 실장은 “지난 3월 26일 개헌안을 발의했다. 다시 한번 국회의 성의있는 개헌논의를 촉구 드리며 4월 임시국회 개회에 즈음해 국회에서 국민투표법을 신속히 처리해주실 것을 요청 드리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국민투표법 개정안이 여러 건 발의돼 있어 국회가 의지만 있다면 신속히 개정할 수 있다면서 “정치권이 개헌을 하겠다고 하면서 정작 국민투표법 개정에 협조하지 않는 것은 매우 이율배반적인 태도라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아래는 ‘국민투표법 개정 촉구에 대한 입장문’ 전문이다.



대통령께서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지난 3월 26일 개헌안을 발의했습니다.

다시한번 국회의 성의있는 개헌논의를 촉구 드리며

오늘은 특별히 4월 임시국회 개회에 즈음하여

국회에서 국민투표법을 신속히 처리해줄 것을 요청 드리기 위해 이 자리에 섰습니다.

주지하다시피 국민투표법은 2014년 7월 헌법재판소가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림으로써 위헌 상태에 놓여있습니다.

2016년부터 효력이 상실되어 2년 3개월째 국민투표 자체가 불가능한 상태입니다.

국민투표법을 위헌 상태로 방치하는 것은 국민의 투표권을 박탈하는 것으로 당장 헌법 개정은 물론이거니와

필요시 국가 안위에 관한 중대한 정책에 대해 국민의 의사를 직접 물을 수도 없는 상황입니다.

이는 헌법이 보장하는 직접민주주의에 대한 심각한 훼손이며

국민의 헌법적 권리에 대한 도전이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를 바로잡지 않고서 헌법기관의 책무를 다한다고 볼 수 없으며 국회의 직무유기라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현재 여야를 막론하고 국민투표법 개정안이 이미 여러 건 발의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상임위에 계류만 되어있고 제대로 논의조차 진행되지 않고 있습니다. 여야가 특별히 이견이 있는 것도 아니며 의지만 있다면 신속히 개정할 수 있는 사안입니다.

정치권이 개헌을 하겠다고 하면서 정작 국민투표법 개정에 협조하지 않는 것은 매우 이율배반적인 태도라 할 것입니다.

개헌의 내용에 대한 합의를 떠나 개헌의 진정성이 있다면 국민투표법 개정을 우선 진행해야 할 것입니다.

국민투표법 개정 여부는 국회의 개헌 의지를 확인하는 시금석이 될 것입니다.

이번 4월 임시국회에서 조속한 국민투표법 개정으로 국민의 권리를 회복시키고 개헌의 진정성과 의지를 보여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아울러 이번 주 내에 국민투표법 개정을 촉구하는 대통령의 서한을 국회에 보낼 계획임을 알려드립니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사람과 동물을 잇다 : 애니멀피플] [카카오톡]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