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독거노인·중증장애인 대상 안전알림서비스 공급 절대 부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해시, 독거노인 146가구·중증장애인 49가구 불과…지역 독거노인만 1만2천379명

(김해=연합뉴스) 최병길 기자 = 독거노인과 중증장애인 등 취약계층 안전을 위해 시행 중인 응급 안전알림서비스가 수요보다 공급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연합뉴스

응급 안전알림서비스 이용하는 독거노인



17일 경남 김해시에 따르면 지역 내 응급안전알림서비스를 받는 대상자는 지난해 말까지 독거노인 146가구, 중증장애인 49가구 등 모두 195가구에 불과하다.

지난해 연말 기준 김해지역 내 65세 이상 노인 중 독거노인은 모두 1만2천379명이다.

시는 올해 195가구를 추가로 늘려 서비스할 계획이지만, 여전히 돌봄 서비스가 필요한 수요에는 극히 미흡한 수준이다.

현재 서비스 대상자는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잠재적 빈곤계층) 계층 노인, 치매환자 또는 치매 고위험군 노인 장기요양서비스 등 건강상태가 취약한 자로 제한하고 있다.

장애인도 혼자 살거나 취약가구, 상시보호가 필요한 중증장애인으로만 한정하고 있다.

국비 지원으로 2011년부터 시행한 이 서비스는 대상 가구에 돌발·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응하는 구조구급 시스템이다.

서비스는 IT 기술을 활용해 화재 발생과 가스 누출 등을 감지하고 거주자 활동 여부를 체크하는 것은 물론 응급호출도 할 수 있다.

노인과 장애인을 위해 설치한 전화식 4개 버튼(말벗, 응급관리센터 연결, 119, 취소)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김해시는 지난해 이 서비스 사업을 통해 2천544건(전화 798회, 방문 1천746회)의 주민 안전을 확인했다.

또 3천551건의 생활교육, 1만6천562건의 서비스 연계를 수행했다. 13건의 화재 사고도 예방했다.

이 서비스는 김해시종합사회복지관 노인 돌봄서비스사업단이 맡고 있는데 현재 서비스 관리인은 2명에 불과하다.

주·야간 모니터링 등 24시간 돌봄 서비스를 펼치는데 애로를 겪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시 관계자는 "늘어나는 독거노인 등 안전 사각지대 수요에 맞춰 대상 범위 확대와 서비스 관리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choi21@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