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3 (일)

南北美 급속 대화무드 돌입에 中日 '싫은 눈치'…견인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 역할론 강조하고 日은 美와 정상회담 갖기로

특사단인 정의용·서훈, 오늘 각각 중국과 일본행

뉴스1

© News1 방은영 디자이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양새롬 기자 = 오는 4월 남북이 정상회담을 개최하는데 이어 5월엔 북미가 정상회담을 하기로 하면서 급속히 대화무드가 형성되고 있다. 이에 주변국인 중국과 일본도 일제히 분주해진 모양새다.

앞서 중국 외교부는 남북간 합의문 발표 후 "이번 한국 특별사절단의 방북이 긍정적인 결과를 거둔 사실을 확인했으며 중국은 이를 적극 환영한다"는 입장을 신속하게 내놨다.

중국의 관영매체들도 일제히 남북 합의문을 발판으로 북미 대화 재개 및 미국의 입장변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미국과 북한이 정상회담에 합의했을 때도 겅솽(耿爽) 외교부 대변인은 즉각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중국이 소외되고 있다는 이른바 '차이나 패싱' 우려에 대해서도 "중국은 한반도의 이웃, 한반도 문제의 중요한 당사국으로서 시종 비핵화에 노력해 왔다"며 일축했다.

북핵위기 초기부터 중국은 적극적으로 북미간 직접 대화를 추진해 왔으며, 지금도 이 접근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면서 '중국 역할론'도 강조했다. 한반도 정세가 북미 정상회담 합의 등으로 급변하고는 있지만 중국의 역할은 무엇으로도 대체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외교가에선 북한이 미국과 가까워지는 것을 중국이 원하지 않을 것이라는 풀이가 나온다.

김한권 국립외교원 교수는 12일 "현재와 같이 북중관계가 불신과 불만이 팽배해 있고 미중의 전략적 경쟁구도가 강화되는 상태에서 중국은 자국이 배제된 급격한 북미간 관계개선이 전략적 이익에 손실이 될까봐 많이 우려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중국은 향후 북미간 관계 개선은 공식적으로 찬성하지만 이러한 북핵문제 해결이 다자간 협상 특히 중국이 의장국인 6자회담을 통해서 룰이 세팅되고 한반도 주변에서 평화가 안정적으로 나타나기를 바라는 포지션을 취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본의 상황도 비슷하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소위 '북풍(北風) 몰이'를 통해 일본을 '전쟁이 가능한 나라'로 만들기 위해 앞장서 왔다.

이러한 가운데 일본 내에서도 대화 국면에서 일본만 소외될 수 있다는 '재팬 패싱'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이에 아베 총리는 지난 9일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회담을 갖고, 4월 중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기로 했다.

더 나아가 일본 정부 관계자는 북한이 국제원자력기구(IAEA)로부터 핵사찰을 받으면 초기 비용을 지원할 수 있다고도 밝혔다. 3억엔(약 30억8000만원)에 달하는 핵사찰 비용을 내더라도 북핵 테이블에서 밀려나지 않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이면우 세종연구소 연구위원은 "일본이 당황한 것은 사실인 것 같다"면서도 "일본의 기본적인 정책기조에는 압박만 아니라 대화도 원래 있었기 때문에 대화를 부정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위원은 "다만 일본은 북한이 얼마만큼 변화해서 나오는 것인지 의구심을 갖고 있을 것"이라면서 "4월 미일 정상회담에서도 아마 그러한 차원의 얘기를 하지 않을까 한다"고 덧붙였다.

미북간에 비핵화 문제와 미사일 문제가 해결이 돼도 일본에 대한 미사일 위협을 확실히 떨쳐냈다고 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한편 대북특사단인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은 이날 각각 중국과 일본으로 향했다.

이들은 이번 방문에서 방북결과를 공유하는 동시에 '동북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각국 협력을 당부하는 문재인 대통령의 메시지를 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떨떠름한 중국과 일본을 한반도 해빙에 협력도록 견인해야 남북미의 대화가 용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flyhighrom@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