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금호타이어 자구안 '불발' 이유 들여다보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호타이어, 법정관리 들어갈까

이코노믹리뷰

금호타이어 노사는 26일 오전 경영정상화 자구계획안 제출에 대해 협의를 진행했으나 노조의 반대로 결렬됐다. 금호타이어 이사회는 이날 오후 4시부터 법정관리 신청 안건을 상정하고 논의할 계획이다. 사진은 구조조정 반대를 외치는 금호타이어 노조. 사진=뉴시스


[이코노믹리뷰=장영성 기자] 금호타이어 노사가 경영정상화 자구계획안에 대해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사측은 이사회를 열어 법정관리 신청 안건 논의할 계획이다.

금호타이어 노사는 26일 오전 경영정상화 자구계획안 제출에 대해 협의를 진행했으나 노조의 반대로 결렬됐다.

이번 협의는 금호타이어의 중국 더블스타 재매각설이 나오면서 노조가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채권단이 금호타이어를 더블스타에 매각하는 계획을 철회하지 않으면 경영정상화에 합의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사측이 제시한 자구안 내용은 생산성 향상ㆍ무급 휴무ㆍ근무형태 변경 등 경쟁력 향상 방안 경영개선 절차 기간 임금동결 통상임금 해소 등 임금체계 개선 및 임금 조정 임금 피크제 시행 복리후생 항목 조정 폐지ㆍ중단ㆍ유지 불합리한 제도와 관행 개선 등이다.

금호타이어는 이날 노조와 경영정상화 방안을 합의하고 채권단과 MOU를 체결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MOU 체결을 위한 선결 조건인 노사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이사회는 후속 절차 등에 대한 논의에 나설 전망이다.

금호타이어는 이날 오후 4시 이사회를 열고 법정관리 신청을 안건을 상정하고 논의할 예정이다.

채권단은 지난달 1조3000억원 규모의 금호타이어 채권의 만기를 올해 말까지로 연장하면서, 한 달 안에 경영정상화 이행 약정을 체결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만기 연장이 실효(취소)한다고 밝힌 바 있다.

채권 만기 연장이 중지되면 즉각 회수에 돌입하기 때문에 금호타이어는 자산을 지키기 위해 법정관리를 신청할 수밖에 없다.

또 금호타이어는 은행 대출 외에도 올해 7000억원 가까운 자금이 필요해 외부 자금 수혈이 없으면 채권단 의지와 상관없이 법정관리를 들어가야만 하는 처지에 놓여있다.

한편 금호타이어는지난 2009년 금호타이어는 워크아웃에 돌입했다가 5년 만에 졸업하기도 했다.

금호타이어 국내 임직원은 2017년 9월 기준 광주, 전남 곡성, 경기도 평택 등 국내 생산공장 3곳을 포함해 5040명이다. 협력업체는 190여개로, 금호타이어 관계근로자 수는 총 1만3000여명에 이른다.

장영성 기자

-Copyright ⓒ 이코노믹리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