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서울시, 올 노숙인 2700명 일자리 준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91억원 투입… 홀로서기 돕기로 / 근로능력 평가 5개 그룹 구분 / 2017년 2683명 취업… 절반 유지 / “올 일자리 넘어 근로 유지 초점”

서울시가 올해 노숙인 2700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근로능력에 따라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해 노숙인들이 자립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2018년 노숙인 일자리 종합계획’을 시행한다고 19일 밝혔다.

세계일보

지난해 열린 노숙인 취업상담행사에서 노숙인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서울시 제공


시는 지난해 노숙인과 쪽방촌 주민 2683명에게 일자리를 지원했으며, 이 중 232명이 민간 일자리를 찾아 자립했다. 중도이탈하지 않고 계속 일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사람은 50%가량이다. 시는 이들에게 올해도 일자리를 제공하고, 추가 참여자를 모집해 총 2700명의 자립을 지원한다. 투입 예산은 91억원이다.

일자리는 △민간 일자리 1155개 △공공일자리 1080개 △공동·자활작업장 일자리 465개로 구성된다. 공공일자리는 ‘일자리 갖기 사업’과 ‘특별자활사업’으로 나뉜다. 일자리 갖기 사업은 근로능력을 갖춘 노숙인에게 지원하는 민간취업 전 단계의 일자리로 공원 청소, 장애인 작업장 보조, 사무보조 등이 있다. 특별자활사업은 장애인이나 질환자 등 근로능력이 다소 부족한 노숙인에게 제공하는 일자리다. 보호시설과 주변 청소, 급식보조 등의 업무를 한다. 공동·자활작업장 일자리는 쇼핑백 접기, 양초 제작, 전기제품 포장 등 단순노무 형태의 가내수공업 위주 근로이며 올해 1곳을 추가해 총 21곳에서 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시는 정밀조사와 평가를 거쳐 노숙인들의 근로능력을 5개 그룹으로 나눠 맞춤형으로 일자리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근로능력이 미약하거나 없는 그룹은 공동·자활작업장으로, 근로능력을 갖춘 그룹은 공공일자리로 우선 배치하고 근로능력에 따라 점진적으로 자활 단계를 높여간다. 궁극적으로는 노숙인들이 민간 일자리를 찾아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올해에는 특히 일자리 제공을 넘어 ‘근로 유지’에 중점을 둔다. 근로능력 평가와 교육, 사례관리 강화 등을 통해 노숙인들의 일자리가 안정 단계에 접어들 수 있도록 지원한다. 서울노숙인일자리지원센터에서는 자격증 취득과 이력서 작성 등을 돕는 ‘취업 성공 열린 학교’를 운영하고, 일하는 노숙인의 자조 모임을 만들어 노숙인들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기로 했다. 오는 9월에는 서울광장에서 신규 민간 일자리 지원이 가능한 ‘취업 취약계층 일자리 박람회’를 개최한다.

시는 노숙인들의 실질적인 자립을 위해 일자리만큼 개인 능력 향상도 중요하다고 보고, 노숙인을 위한 사진·인문학 등의 강의와 다양한 취업·예술 프로그램 등을 제공한다. 또 현직 의사의 재능기부로 건강진료와 정신과 상담도 진행한다.

김인철 서울시 복지본부장은 “노숙인 자활·자립을 위해 다양한 교육과 프로그램을 마련할 것”이라며 “근로가 가능한 노숙인들이 꾸준히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yoo@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