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김성태, 1차 투표서 승리 쐐기…중립지대 표심 흡수가 결정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홍준표 독선 견제'보다 '도로 친박당' 안된다는 심리가 크게 작용

"초재선들의 반란…'홍준표 체제 외에 대안 없다'는 당내 여론 반영"

(서울=연합뉴스) 정윤섭 배영경 이신영 기자 = 자유한국당 김성태 신임 원내대표가 12일 실시된 경선에서 결선투표 없이 1차 투표에서 승리를 확정 지었다.

'친홍'(친홍준표) 및 바른정당 복당파 의원들의 견고한 지지표에 더해 막판까지 마음을 정하지 못했던 중립지대 표심까지 흡수한 것이 '홍준표 사당화'라는 '비홍'(비홍준표) 진영의 논리를 뚫고 승리한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연합뉴스


김 원내대표와 함진규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총 108명의 의원 가운데 정확히 과반인 55명으로부터 표를 얻어 당선됐다.

친박(친박근혜) 성향의 홍문종 후보와 중립지대 후보를 자처했던 한선교 후보의 득표수는 각각 35표, 17표에 그쳤다.

'55'라는 숫자를 두고 당내에서는 아쉽다는 목소리보다 선전했다는 분석이 많은 편이다. 1차에서 과반을 얻는 후보가 없어 결선투표까지 갈 것이라는 의원 상당수의 예상을 뒤엎었기 때문이다.

의총 직후 의원들이 내놓은 판세 분석을 종합해보면, 중립지대 표심을 확보한 것이 김 원내대표 당선의 결정적 요인으로 분석된다.

애초 당 안팎에서 추산했던 김 원내대표의 '확실한 표'는 복당파 의원 22명에 주요 당직자들을 중심으로 한 친홍 의원들의 표까지 약 30∼40표 수준이었다.

이를 고려하면 김 원내대표가 추가로 끌어들인 중립지대 의원의 표는 20표 안팎에 이른다는 계산이 나온다.

한 3선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중립지대에서 고민했던 의원들과 선거 직전에 얘기해보니 '중립지대 후보가 애초 예상과 거리가 있다'고 털어놓은 사람들이 있었는데 그들이 김 원내대표 쪽으로 표를 던진 듯하다"고 분석했다.

또 다른 재선 의원도 통화에서 "중립지대 후보들의 표 확장 가능성이 작아지면서 기대가 떨어졌고, 동시에 '도로 친박당'이 돼서는 안 된다는 국민적 여론이 '홍 대표 독선 견제' 심리보다 크게 작용한 것 같다"고 추정했다.

여기에다 사실상 홍 대표 지지를 받았던 김 원내대표가 당선된 것은 '현재로선 홍준표 체제 이외에는 현실적 대안이 없다'는 당내 여론이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한 재선 의원은 "이번 선거는 초·재선 의원들의 반란"이라며 "초·재선 의원들이 '결국 홍 대표 외에는 대안이 없다'고 판단했고, 여기에 김 원내대표가 보여준 투쟁력이 먹힌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날 의총 현장에서 김 원내대표와 함 정책위의장이 보여준 '설득력 있는' 정견발표에 마지막까지 결정하지 못했던 부동표가 일부가 지지를 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연합뉴스


다만 일각에서는 김 원내대표의 득표수를 놓고 애써 평가 절하하려는 목소리도 나왔다.

한 복당파 의원은 "투표권이 있음에도 불참한 의원(최경환·김정훈·신상진·이우현 의원) 대부분이 친박인데 이들이 의총장에 나왔다면 김 원내대표가 55표로는 1차에서 담판 지을 수는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복당파 의원도 "어쨌든 홍문종 후보를 지지한 견고한 친박표가 35표에 이른다는 것인데 아직도 한국당이 갈 길이 상당히 먼 것 같다"고 밝혔다.

ykba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