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로힝야족 송환 가능할까…"無국적자 해결 등 선행돼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물 마시며 눈물 흘리는 로힝야 어린이


미얀마·방글라데시, 로힝야족 내년 1월말 송환키로

미얀마 정부군, 폭력 가능성 우려…교황 순방 주목

【서울=뉴시스】 이현미 기자 = 미얀마와 방글라데시 정부가 23일 미얀마 정부군의 폭력을 피해 방글라데시로 도망온 로힝야족 난민들을 미얀마로 송환하기로 합의했지만, 로힝야족들이 자신들의 고향으로 돌아가기는 쉽지 않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시민권 보장 등이 선행되지 않을 경우 미얀마 정부군으로부터 언제든 다시 인종청소를 당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 등에 따르면 일단 미얀마와 방글라데시는 내년 1월말부터 로힝야 난민 송환 작업을 시작하는데 동의했다. 미얀마에서 국경을 넘어 방글라데시로 대피한 로힝야족 난민 62만명 이상은 현재 텐트촌에서 생활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로힝야족에 대해 미얀마 정부군이 가한 폭력은 인종청소라며 강력하게 비판하고 있다. 미국은 아예 '인종청소'라고 선언하기도 했다.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22일 성명을 통해 미얀마 정부군 등이 로힝야족에게 "끔찍한 고통"을 자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미얀마 군부가 로힝야 반군이 이번 사태를 조장했다고 반박하는데 대해 "어떤 도발이 있다 해도 계속되는 잔학한 행위를 정당화할 수는 없다"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관련 사실을 신중하고 철저히 조사 분석한 결과 북라카인 주에서 자행되는 상황이 로힝야족을 대상으로 한 인종청소라는 것이 명확히 드러났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국제사회에서는 로힝야족의 송환에 앞서 그들의 안전이 먼저 보장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필리포 그란디 유엔난민기구(UNHCR) 최고대표는 지난 22일 한국 서울 사무소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로힝야 난민의 본국 송환이 원칙이냐는 질문에 "(로힝야 난민들은)평범한 일상을 살아갈 수 없다면 (미얀마로)돌아가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안토니오 구테헤스 유엔 사무총장이 말한 것처럼 집으로 돌아갈 권리를 그들은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안전하게 돌아가려면 많은 것들이 선행돼야 한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이들의 시민권이 해결돼야 한다. 이들은 무국적자들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오는 26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미얀마와 방글라데시를 순방하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미얀마 군부 지도자와 실권자인 아웅산 수치 국가자문역을 만나 로힝야족의 안전 보장을 위한 조치를 요구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교황은 로힝야족 난민들도 만날 예정이다.

always@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