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포항 수험생 10명 중 9명 “포항서 응시하고 싶다”지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교육당국, 설문결과에도 안전 문제 고민 중

교육계 일각 “학생에게 책임 떠넘기기” 질타
한국일보

수능 시험을 치기 위해 포항으로 온 울릉도의 울릉고 학생들이 16일 해병대 청룡회관에서 공부하고 있다. 윤희정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북 포항에서 수능을 치르는 수험생들이 10명 중 9명 가까이 포항에서 응시하기를 희망하고 있으나 교육당국은 여진에 따른 안전을 자신할 수 없어 고민을 거듭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교육당국이 16일 저녁 포항지역 고3 수험생 4,300여명에 대해 카카오톡과 문자메시지를 통해 시험장소 이전에 대한 긴급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90% 정도가 포항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항목은 ‘포항에 있는 다른 초중고’와 ‘포항 이외 고사장’ 2가지였다.

경북교육청 관계자는 “학생들이 타 지역에서 응시할 경우 시험 하루 전 예비소집부터 이동과 숙박에 큰 불편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에 포항을 선호하고 있다”며 “기존 고사장 안전 점검이 끝나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교육당국은 15일 지진 직후 고사장을 대구로 옮기는 방안을 심각하게 검토하다 16일 오전 관계자들이 비공개 토론을 벌였지만 결론을 내지 못하면서 학생들의 의견을 직접 물어보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교육당국은 이날 학생들의 설문결과에도 불구하고 고사장을 선뜻 선정하지 못하고 있다. 건물에 구조적 결함이 없다고 판정난 기존 고사장에서 시험을 치르기로 했다 수능을 하루 이틀 앞두고 강한 여진이 발생할 경우 수험생들의 불안감은 증폭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포항지역 63개 중고교 중 진원인 북구에서 거리가 먼 남구지역 23개와 거리가 가까운 인근 지자체의 학교가 대체 고사장으로 유력히 검토되고 있다.

이에대해 교육계 일각에서는 정부가 포항 수험생의 불안과 안전을 이유로 수능을 한 주 연기해놓고 학생들의 의견을 물어 고사장을 결정키로 한 것은 무책임하다는 지적이다.

한 교육 관계자는 “지진 후 수능의 가장 큰 기준은 안전이라며 시험 날짜까지 연기한 교육당국이 안전에 대한 전문적인 판단없이 학생들 의견에 따라 시험 장소를 정하겠다는 발상이 어이없다”며 “수험생의 혼선을 야기하지 말고 안전한 대체 수험장을 지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포항=전준호기자 jhjun@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