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수능 연기에 고사장 무방비 노출…장소 바꾸고 금속탐지기 동원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5일 진행된 예비소집 통해 전국 시험장 위치 전부 노출

남은 기간 동안 수능 부정행위 가능성 어느때보다 높아져

시험장 교체·금속탐지기 동원 등 저마다 해법 마련 고심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23일로 연기된 가운데 전국 1180개 시험장에 대한 관리 문제로, 교육부와 각 시·도교육청이 고심 중이다. 지난 15일 전국 59만 3527명의 수능 수험생들이 예비소집을 통해 시험장 위치를 모두 공지한 상태에서 시험이 연기된 탓에 부정행위를 시도할 가능성이 과거 어느 때보다 높아진 때문이다.

16일 교육부에 따르면 15일 전국 1180개 수능 시험장에서 수험생 예비소집이 진행됐다. 올해 수능시험에는 지난해보다 1만 2460명(2.1%) 줄어든 59만 3527명이 지원했다. 수험생들은 이날 원서를 접수한 학교나 교육청별로 수험표를 받았으며, 시험을 치를 학교와 교실 등의 위치를 모두 확인했다.예비소집 당시에는 수험생들이 미리 시험장 입실이 불가능하다. 문제는 수능 연기로 인해 시험까지 기간이 6일이나 된다는 점이다.

원칙적으로 수능 시험장은 예비소집부터 시험일 당일까지 입실이 전면 통제되지만 올해의 경우 통제가 불가능하다. 당장 17일부터 시험장으로 쓰일 학교에서 정상적인 수업이 진행돼야 하며, 오는 22일까지 타 학교 학생들의 왕래도 막기 힘들다.

수험표에 기재된 시험장을 미리 인지한 수험생 중 일부가 사전에 시험장 및 인근에 부정행위를 위한 전자기기 등을 몰래 설치하더라도 이를 제재할 방법이 없다는 얘기다.

이에 각 시·도교육청에서는 다양한 경우의 수를 놓고, 대책마련에 고심 중이다. 우선 대전시교육청은 당초 수험표에 기재된 시험장을 전부 교체한다는 계획이다.

대전교육청 관계자는 “이미 시험장이 수험생들에게 노출된 만큼 만일의 사고를 대비하기 위해 22일 전 시험장을 교체해 당초 15일 진행했던 예비소집과 다른 시험장에서 수능을 치룰 수 있도록 조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시교육청의 경우 시험장과 화장실 등 23일 수능 당일날 학생들의 이동 경로가 예상되는 곳을 대상으로 금속탐지기 등을 동원하기로 했다.

세종교육청 관계자는 “22일까지 전 시험장를 대상으로 금속탐지기를 동원해 스마트폰과 디지털카메라·전자사전·태블릿PC 등 모든 전자기기를 색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 대비하겠다”고 설명했다.

반면 충남도교육청은 22일까지 전 시험장에 대해 기존과 같은 방법으로 육안으로 검사한다는 방침이다. 충남교육청 관계자는 “시험장은 철저히 관리될 것”이라면서도 “기존과 같이 책상 속과 시험장 내부에 단 한장의 종이도 없도록 사전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한 교사는 “요즘 출시되는 전자기기를 보면 그간 듣지도, 보지도 못했던 첨단 제품들이 속속 나오고 있고, 학생들은 이를 자유자재로 다룬다”면서 “만약 올해 수능에서 시험장 내부에서 부정행위가 적발될 경우 이 책임은 감독관이 져야 하는지, 교육청이나 교육부가 책임져야 하는지도 향후 논란의 소지가 있다”고 전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