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몸값 6조된 케이뱅크, IPO 재도전…"생산성·효율성 높아져 상장 적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8일 상장예비심사 신청…기업가치 5~6조 평가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올 하반기 기업공개(IPO) 시장 최대어로 꼽히고 있는 케이뱅크가 약 1년 만에 다시 상장 출사표를 던졌다. 케이뱅크의 하반기 증시 데뷔가 가시화되면서 IPO 시장도 한층 뜨거워질 전망이다.

이데일리

최우형 케이뱅크 행장. (사진=케이뱅크)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이달 28일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하고 본격적인 IPO 절차에 돌입한다. 상장주관사는 NH투자증권과 KB증권, 뱅크오브아메리카(BoA)다. 상장예비심사에 약 45영업일이 소요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결과는 8~9월께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2017년 4월 출범한 케이뱅크는 2021년 첫 연간 흑자로 전환한 뒤 흑자 기조를 이어온 가운데, 지난 2022년 IPO를 추진했으나 얼어붙은 투자 심리 등을 고려해 철회한 바 있다. 케이뱅크는 올 1분기에만 2021년 2분기 이후 가장 많은 80만명의 신규 고객을 확보했다. 1분기 말 수신잔액은 23조 9700억원, 여신잔액은 14조 7600억원으로 직전 분기와 비교해 각각 25.7%, 6.6% 증가하며 성장세다. 이에 따라 1분기 507억원의 역대 최대 분기순이익을 기록하기도 했다. 같은 기간 수익성 지표인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0.77%(연 환산)로 카카오뱅크(7.33%)와 토스뱅크(3.93%) 등 인터넷은행 중 가장 높다. 경영 효율성을 확인하는 지표인 영업이익경비율(CIR)은 29.0%로, 은행권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케이뱅크를 주목할 만한 점은 CIR이 전 은행권 중 유일하게 20%대를 진입했다”며 “전산 구축, 인력 확보가 거의 완료된 상태여서 이 수준의 비율을 유지할 수 있는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증권가에서는 케이뱅크의 기업가치를 5~6조원 수준으로 내다보고 있다. 박 연구원은 ”(케이뱅크의) 성장성을 고려하면 올 연말쯤 상장을 예상하는 데 자기자본은 2조원을 웃돌 것으로 예상한다”며 “기업가치는 5조 4000억원까지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본격적인 IPO 절차에 돌입하면서 케이뱅크는 최근 주가가 상장일 대비 70% 가까이 빠진 카카오뱅크와 차별화를 꾀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카카오뱅크 주가 부진은 그룹사 리스크와 최근 성장성 하락(대출 성장률 목표 20%→10% 하향)에 따른 것인 만큼 케이뱅크만의 차별점을 부각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케이뱅크는 인터넷은행의 장점인 비용효율성과 생산성을 가장 잘 구현하고 있다”며 “철저한 IPO 준비를 통해 케이뱅크의 차별적인 가치를 입증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