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中 외교부 관계자 “사드 문제 해결 최종단계는 완전한 철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신화사도 “양국, 사드문제 단계적 처리 합의”

한국 정부 “더 이상 사드 언급 없다”와는 차이

중앙일보

북한 조선노동당 창건기념일인 지난달 10일 경북 성주골프장에 배치된 주한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 체계 발사대가 하늘을 향하고 있다. 프리랜서 공정식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외교부의 고위 관계자가 14일 “지난 10월 31일 한ㆍ중 외교부가 발표한 사드 합의문은 문제 해결의 첫 단계이며 최종 단계는 사드의 완전한 철수”라고 밝혔다. 그간 한ㆍ중 갈등의 핵심이었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 체계 문제의 종착점이 봉인이 아닌 철수라는 의미다.

이 발언은 이날 중국 관영 신화사가 “양국이 최근 사드 문제를 ‘단계적으로 처리’하는데 컨센서스를 달성했다”는 보도와 관련, 중앙일보 기자의 질문에 대해 답변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이 관계자의 설명은 “사드 추가 배치는 없으며, 미국의 미사일방어 체계에 편입하지 않고, 한ㆍ미ㆍ일 협력을 군사동맹화하지 않는다”는 이른바 3노(N0) 외에 사드와 관련해 한ㆍ중 간 별도의 논의가 있었거나 향후 그럴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겅솽(耿爽) 외교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비슷한 맥락의 발언을 했다. “우리는 양국 관계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만난 장애를 극복해 양국 관계가 개선ㆍ발전하기를 바란다”며 “중국은 이를 위해 노력할 것이고 한국 역시 노력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여기엔 사드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것이 아니라 한ㆍ중의 노력이 계속돼야 한다는 뉘앙스가 담겨 있다.

신화사의 ‘단계적 처리’에 대한 질문에는 “사드문제를 적절히 처리하고, 한ㆍ중 관계 발전의 장애에서 벗어나는 것은 양국 공동의 희망이자 양국의 공동 이익에 부합한다”고 답했다. 이어 “양국은 두 나라 외교채널을 통해 관련 문제를 소통했고 컨센서스를 달성했다”며 “사흘 전에는 시진핑(習近平) 주석과 문재인 대통령이, 어제는 문 대통령과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만났다”며 “두 차례 중요한 고위급 만남에서 중국이 메시지는 일관된다”고 전했다.

중앙일보

한국 정부가 &#39;3No&#39;(사드 추가배치, 미 MD 편입, 한·미·일 군사동맹 등에 대한 배제) 의사를 밝힌 이후 중국의 반한 조치가 점차 해제될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10월 유커들이 서울 명동 거리를 가득 채우고 있는 모습.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 베이징 소식통은 “한국 정부가 지난 10ㆍ31 합의 이후 ‘더 이상의 사드 언급은 없다’며 이 문제를 매듭지으려 하자, 중국 측이 사드 철수까진 최종 해결이 아니라는 입장을 환기시키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31일 양국 외교부가 각각 발표한 합의문에는 “중국 측은 국가안보를 지키기 위해 한국에 배치된 사드 체계를 반대한다고 재천명했다. 동시에 중국은 한국이 표명한 입장에 유의하였으며, 한국 측이 관련 문제를 적절하게 처리하기를 희망했다”고 명시돼 있다. 합의문은 이어 “양측은 양국 군사 당국 간 채널을 통해 중국 측이 우려하는 사드 관련 문제에 대해 소통해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관련 사정을 잘 아는 소식통은 "합의 문구 중 '소통해 나가기로' 대목에 대해 한ㆍ중이 서로 다른 해석을 갖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베이징=신경진 특파원 shin.kyungjin@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