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0 (목)

文, 북핵 불용 재천명… “평창 올림픽 관심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EAS·아세안+3 정상회의 참석 / “北 도발 지역 넘어 전 세계적 위협 / 대화의 장 끌어내 핵폐기 달성해야” / 러 총리와 극동개발 사업 추진 합의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관련 정상회의 참석차 필리핀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한반도 주변 4강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정상들 앞에서 ‘북핵 불용’원칙을 재천명하며 내년 평창동계올림픽이 북한의 참가를 통해 진정한 ‘평화올림픽’이 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동아시아정상회의(EAS)와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 등의 다자외교 일정을 소화했다. EAS는 미·중·일·러 등 역내 주요국이 모두 참여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상위 전략포럼이다.

세계일보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후(현지시간) 필리핀 마닐라 필리핀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2차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 참석해 회의에 앞서 각국 정상들과 손을 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리센룽 싱가포르 총리, 맬컴 턴불 호주 총리,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문 대통령,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마닐라=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마닐라 필리핀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2차 EAS에서 “북한 핵·미사일 문제가 지역적 차원을 넘어 전 세계적 위협이 되고 있는 엄중한 상황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고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모든 외교적 수단을 사용해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내고 궁극적으로는 평화적 방식으로 완전한 핵 폐기를 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각국 정상들은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국제사회가 계속 협력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군사적 옵션 등) 모든 옵션이 테이블에 있다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북한이 우리에게 와서 대화를 하자고 할 때까지 (대북 제재를) 밀어붙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리커창 중국 총리는 “중국은 일관되고 확고하게 북한 핵에 반대한다. 한반도의 비핵화를 추구한다. 유엔 안보리 결의안을 성실하게 이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EAS와 아세안+3, 전날 열린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는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을 규탄하는 내용이 담긴 의장성명이 각각 채택된 것으로 알려졌다. 교도통신은 14일 “EAS 의장성명 초안에 모든 국가가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의 전면적이고 철저한 이행에 동참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 포함됐다”고 전했다.

세계일보

동남아 순방 성과 설명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후(현지시간) 필리핀 마닐라 젠 호텔의 프레스룸을 방문해 한국기자단에게 동남아시아 3개국 순방 성과를 설명하고 있다. 마닐라=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이날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와 별도 회담을 갖고 한·유라시아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위한 실무협의를 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하는 한편 극동 개발 등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자는 데 합의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한·러관계를 외교안보 정책상 최우선 순위에 두고 있다”고 했다.

먼저 회담장에 도착한 문 대통령은 의전·경호상 격식을 깨고 문 밖에서 기다리다 메드베데프 총리를 맞는 등 극진한 예우를 보였다. 메드베데프 총리는 “북한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결코 용납할 수 없다”며 “한반도 안정은 러시아 안보와 직결되는 만큼 한반도 평화안정을 위한 한국 입장을 지지한다”고 밝혔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전했다.

문 대통령은 리센룽(李顯龍) 싱가포르 총리와도 정상회담을 갖고 싱가포르의 ‘스마트 네이션 프로젝트’와 한국의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 간 연계와 양국 FTA 개선 필요성에 의견을 같이했다.

마닐라=유태영 기자 anarchy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