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뇌 먹는 아메바’ 공포 재확산 시킨 허리케인 어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美플로리다 할퀴는 허리케인 ‘어마’ - 허리케인 ‘어마’가 10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에 상륙한 가운데 포트로더데일 해안가에 강풍과 폭우가 몰아치고 있다. 2017-09-11 사진=AP 연합뉴스


미국 전역을 공포에 빠뜨렸던 ‘뇌 먹는 아메바’가 허리케인 ‘어마’로 인해 또 다시 유행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뇌 먹는 아메바는 네글레리라 파울러리라고 알려져 있으며, 드물지만 치명적인 뇌 질환을 일으키는 단세포 유기체다. 주로 오염된 물이 코를 통해 들어갔을 때 감염되며, 아메바가 코를 통해 뇌로 이동하면 원발성 아메바 뇌척수막염에 걸린다.

뇌로 들어간 아메바는 뇌 조직을 파괴하면서 두통과 발열, 메스꺼움과 같은 증상을 나타내고, 이후 발작이나 환각 등의 증상으로 심해지다가 결국 죽음에 이른다.

폭스뉴스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뇌 먹는 아메바의 공포가 다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 것은 허리케인 ‘어마’로 인한 수위 상승의 영향 탓이다.

현지 전문가들은 허리케인 어마로 인해 수량이 많아진데다 날씨가 따뜻해 수온이 올라가면서 감염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2005년 미국 남동부를 강타했던 대형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지나간 뒤, 루이지애나 주에서 네글레리라 파울러리에 감염된 환자 3명이 발생한 것을 예로 들었다.

실제로 허리케인 어마는 남동부 지역에 어마어마한 물폭탄을 쏟아냈다. 넘치는 빗물은 허리케인이 지나간 후에도 고여있는 시간을 통해 오염됐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플로리다처럼 기후가 따뜻한 지역의 경우 네글레리라 파울러리와 같은 박테리아가 번식할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사람들이 대부분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수돗물마저도 재해로 인해 정화시스템이 파괴돼 깨끗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따뜻한 물에 들어갈 때에는 반드시 코마개를 사용하고, 수돗물을 사용할 때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 [웰 메이드 N],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인기 무료만화]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