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자살 빅데이터’ 첫 공개]자살 위험자들 ‘주거 환경’ 열악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공의창’ 자살위기자 지도 첫 공개…1인 가구·20평 이하·월세 ‘공통점’

한국의 자살률은 세계에서도 가장 높은 축에 속한다. 2003년 이후 매년 1만명 이상이 스스로 목숨을 끊어 한번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위’라는 불명예에서 벗어난 적이 없다. 지난해 한국의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은 28.7명으로 2위인 일본(18.7명)과도 격차가 커지고 있다.

인구와 지리정보, 과거 자살자 통계 등을 이용해 이른바 ‘자살위기자’가 많이 사는 지역을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토대로 위험 지역에 대책을 집중하면 자살을 상당 부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비영리조사네트워크 ‘공공의창’은 10일 세계자살예방의날을 맞아 ‘2017~2018년 자살위기자 예방대응 지도’를 공개했다. 이 지도는 전국 17개 시·도, 252개 시·군·구, 3491개 읍·면·동을 자살위기자 비율이 높은 순서로 구분해 5개 등급(A~E 단계)을 매겼다. 위험이 가장 높은 A등급을 받은 광역자치단체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이었다. 대도시를 벗어나면 자살위기자 비율이 줄지만, 광역시·도 안에서도 읍·면·동마다 큰 차이를 보였다.

전국 4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10년간의 지역별 실제 자살자 분포를 비교분석한 결과, 주거환경이 자살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공통적인 수치로 확인됐다. 지역에 상관없이 ‘20평 이하’ ‘월세’로 살고 있는 이들 중에 자살을 생각해본 적 있는 자살위기자가 많았다. 우울·스트레스·분노 등 정신적 문제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요인도 주된 원인이 된다는 뜻이다.

서울 강북에선 20~30대 자살위기자가 많았고, 강남에선 35~44세가 주된 위험군으로 나타났다. 강원도·대구경북·경기도의 군 지역에선 40~50대에, 제주도는 40대와 60대에 자살위기자가 많았다.

자살을 줄이려면 고위험군의 특징과 분포를 분석해 복지·주거정책과 연결시켜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일본의 경우 지역사회와 연계한 대응을 강화하면서 10년 새 자살률을 30% 줄이는 효과를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사를 주관한 공공의창의 회원사 ‘지방자치데이터연구소’ 최정묵 부소장은 “지리정보를 통해 자살위기자가 더 많이 있는 지자체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며 “이런 정보를 토대로 자살 대응예방 인프라를 효과적으로 확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진수 기자 soo43@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