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주식 거래시간 연장 유동성 증가 효과 없다…노조 "원상회복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식시장 정규 거래시간을 30분 늘린지 1년이 지났지만 기대했던 거래가 늘지 않자 증권사 노동조합이 근무여건 악화를 이유로 원상회복을 요구하고 나섰다.

27일 한국거래소와 증권업계에 따르면 거래시간이 30분 연장된 지난해 8월1일부터 지난 26일까지 약 1년간 코스피시장(유가증권시장) 정규장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4조7489억원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거래시간 연장 전 1년간(2015년 8월초∼2016년 7월말)의 4조8044억원보다 555억원(1.2%) 준 것이다.

코스닥 거래대금은 거래시간 연장 전 1년간 3조4385억원에서 연장후 1년간 3조1009억원으로 3376억원(9.8%)이나 감소했다.

주식 거래량으로 봐도 코스피는 4억3616만주에서 3억5986만주로 17.5% 줄었고 코스닥은 7억706만주에서 7억91만주로 0.9% 감소했다.

거래소는 지난해 8월1일 주식 정규거래 마감 시간을 오후 3시에서 3시30분으로 30

분 늘리면서 기대효과로 거래가 늘어나는 ‘유동성 효과’를 내세웠다. 증시 유동성이 3∼8% 증가하면서 일평균 거래대금이 많게는 6800억원까지 늘어날 것이라는 구체적인 예상 수치까지 제시했었다.

이와 관련해 김호열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증권업종본부장은 “거래시간 연장의 효과는 없지만 정규장 종료 뒤 처리할 서류업무로 증권사 직원의 근로조건은 악화됐다”며 “쉽지는 않겠지만, 금융 부문의 적폐해소 차원에서 원상회복을 건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노조는 금융위원회에 30분 연장된 거래시간의 원상회복을 건의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신동주 기자 ranger@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