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文대통령 "월성 1호기도 중단 가능… 2030년까지 몇개 더 폐쇄할 수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가재정전략회의 말미에 강조 "전기요금 그리 많이 안 오를 것"

문재인 대통령은 21일 "영구 정지된 고리 1호기에 이어 전력 수급 계획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면 월성 1호기도 중단될 수도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전날에 이어 이틀째 열린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이같이 말하며 "2030년까지 몇 개 더 폐쇄할 수도 있다"고 했다.

지난 20일부터 이날까지 이틀간 진행된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원전 관련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음에도 문 대통령은 회의 말미에 따로 시간을 내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탈원전, 신고리 5·6호기 중단, 공론 조사 등을 군사작전처럼 밀어붙인다는 비판이 있다"며 "산업부 장관이 임명됐으니 제대로 설명됐으면 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미 가동에 들어간 신고리 3호기 설계 수명이 60년이고, 지금 건설 중인 신고리 4호기, 신한울 1·2호기 모두 수명이 60년이라 이것만으로도 원전은 2079년, 62년 후까지 가동된다"며 "신고리 5·6호기를 건설하면 몇 년 더 늘어나는데 앞으로 60여년간 (원전을) 서서히 줄여나가는 것을 감당하지 못한다면 말이 안 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탈원전 공약이 아니더라도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20%까지 높이도록 정책 방향이 잡혀 있다"며 "석탄 에너지를 줄이고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을 더 늘려야 하지만 전기요금이 크게 높아질 정도는 아니다"고 했다.

현재 가동 중인 원전 24기 가운데선 월성 1호기가 문 대통령 임기 내인 2022년 설계수명이 다한다. 건설을 예정했던 6기(신한울 3·4호기, 천지 1·2호기, 부지 미정 2기)는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따라 전면 백지화된다. 현재 건설 중인 신고리 5·6호기만 공론화 과정을 거쳐 공사를 중단할지 말지를 정한다.





[박국희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