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오늘의 사건·사고

화성 23명 장례 모두 마치려면 언제쯤… “보상 협의에 한 달 이상 걸릴 수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고 발생 닷새 만에 첫 장례식

지난 24일 경기 화성 리튬 배터리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로 총 23명이 사망한 가운데, 이들의 신원이 모두 확인되며 장례와 보상 절차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사고 발생 닷새 만인 28일, 경기도 내 한 병원 장례식장에 사망자 A씨의 빈소가 처음 차려지기도 했다.

조선일보

화성 아리셀 공장 화재사고 유가족 협의회가 28일 경기 화성시청 로비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화성시는 사망자 23명 전원의 빈소가 언제 쯤 차려질 지 명확히 예상을 못하고 있다. 아직 유가족 중 일부가 중국에서 비자 발급 문제 등으로 입국에 차질을 빚어 장례와 관련한 공식 입장을 듣지 못했다는 것이다. 화성시 관계자는 “23명 전원이 모두 장례를 마치려면 한 달 이상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며 “현재 유족들과 장례 전 보상 협의 절차를 밟고 있다”고 했다.

화성시가 주목하는 사례는 지난 2020년 4월 7일 발생한 이천 물류창고 공장 화재 사고다. 이 사고로 38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번 화성 화재 사건과 비슷한 부분이 많다.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인데다, 공장 내부가 샌드위치 패널 구조로 돼있어 화재 진압에 어려움을 겪어 사망자가 다수 발생했다. 시신 대부분도 피해가 커 신원 확인이 어려움을 겪었다.

이 화재는 사고 발생 43일이 지난 그 해 6월 10일, 사고 업체와 유가족 간 협의가 끝났다. 총 91억5000만원(인당 2억4000만원)이 지급됐고, 열흘 후인 20일 합동 영결식을 진행했다. 사건 발생 53일 만이었다. 이후 유가족들은 각자 고향으로 돌아가 계속 미뤘던 장례식을 치뤘다. 당시 유족 대표는 “장기간 이어진 타지 생활로 인한 어려움과 국민 관심에서 점점 멀어진다는 불안감이 커져 시공사의 합의 제안을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조선일보

2020년 4월 7일 오전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유산리에 있는 냉동물류창고‘코리아2000’에서 대형화재가 발생해 57명이 죽거나 다치는 대형 참사가 벌어졌다. 소방관들이 화재가 발생한 창고에서 피해자들을 밖으로 옮기고 있다. /채승우 기자


화성시 관계자는 “이번 사고도 이천 화재와 같은 대형 화재 참사라, 유족들과 화재에 책임이 있는 회사, 보험회사 간의 보상 협의가 문제가 될 것”이라고 했다. 유가족들도 지난 27일 화성을 찾은 박순관 아리셀 대표를 만나 “우리(유가족)가 목소리를 내고 합의를 봐야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또 다른 대형 화재 참사인 2008년 이천 냉동창고 화재 사고(40명 사망)는 비교적 빠르게 유가족 협의와 빈소 설치가 됐다. 그 해 1월 7일 사고가 났는데, 첫 장례는 5일 만인 11일에 있었다. 사고 1주일 만인 14일 유가족과 회사측이 보상급 지급 문제에 합의를 봤다.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는 사고 발생 100일이 지나서야 첫 보상 협상이 열렸지만, 장례는 사고 발생 3일 만에 시작됐었다.

한편 화성시는 “합동분향소 등은 아직 계획에 없다”며 “화성시청 1층과 화성 동부출장소, 동탄출장소에 시민 분향소로 일단 운영하다, 유가족 협의체와 함께 합동분향소 설치 협의를 검토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안준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