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서울시 ‘밥상 복지’ 시동 걸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2020년까지 3329억 들여 평등 실현

친환경 재료 농촌 직거래제 도입

취약계층엔 영양꾸러미·집밥 배달



한겨레

서울시는 어린이집과 지역아동센터 복지시설 등에서도 초·중학교처럼 친환경 재료 70% 이상을 사용하는 친환경 급식을 실시하기로 했다. 사진은 초등학교 친환경급식 모습. 서울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국공립·민간·가정 어린이집과 지역아동센터, 복지시설 등의 친환경 식재료 사용률을 2019년까지 70%로 높여나가기로 했다. 또 영양 상태가 위험한 노인 6000명에게 영양꾸러미를, 중위소득 80% 이하 가구 중 먹거리 지원이 필요한 2만가구에 식품을 살 수 있는 바우처를 지급할 계획이다.

시는 20일 ‘서울시민 먹거리 기본권’을 선언하고 도농 상생, 차별 없는 먹거리를 보장하기 위해 2020년까지 3329억원을 들여 먹거리 마스터플랜을 실현하기로 했다. 이번 먹거리 마스터플랜은 복지를 위해 제공되는 먹거리들의 질에 초점을 맞췄다. 서울에서 경제적 이유로 제때 식사를 하지 못하는 인구는 18만가구, 50만명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이들을 위한 급식 단가는 20년 동안 1745원에 묶여 있었다.

우선 친환경 급식을 위해 서울 자치구마다 농촌과 직접 거래하는 식재료 공공조달 직거래 시스템이 도입된다. 시는 812억원을 들여 서울시 25개 자치구마다 직거래할 농촌을 선정하고 공공급식센터를 설치하도록 할 예정이다. 친환경급식 혜택을 받게 될 이들은 20만명으로 추산된다. 현재 어린이집은 22%, 지역아동센터는 13% 정도가 친환경 식재료를 절반 이상 구매하고 있을 뿐이다. 시는 초·중고 학교급식에서 사용하는 친환경 식재료를 어린이와 복지기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올해 하반기 강서친환경유통센터(1440㎡)에 만들어지는 서남권 공공급식센터를 비롯해 농가에서 자치구로 보낸 식재료를 받아 어린이집 등에 전달하는 센터를 늘려나가기로 했다.

또 취약계층 노인들에겐 잘 씹을 수 있는 반조리 음식이나 영양보충 음료 등을 보내고 결식아동, 다문화가정, 소규모 급식지원센터 등엔 일주일에 2번씩 집밥 같은 급식이 배달된다. 그동안 쌀, 김치 같은 식재료만 공급받던 많은 이들이 조리를 할 수 없어 라면으로 끼니를 때우기 일쑤였기 때문이다.

“식량의 총량은 시민 모두의 배를 채우고 남는데, 일부에 쏠리면 남는 음식은 쓰레기가 되고 만다. 먹거리는 상품이 아니라 공공재다.” 이날 마스터플랜 발표회에서 박원순 시장은 먹거리 기본권의 의미를 이렇게 설명했다.

남은주 기자 mifoco@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주주신청]
[▶ 페이스북] [카카오톡] [위코노미] [정치BAR]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