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스페인 카탈루냐 "국민투표 없어도 독립 가능" 선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카탈루냐 자치정부, 비밀리에 독립 위한 새 헌법 초안 준비

"중앙정부가 국민투표 저지하면 즉각 독립" 조항 포함돼

오는 10월께 국민투표 예정…중앙정부와 갈등 고조 전망

중앙일보

지난 2014년 '카탈루냐 민족의 날'인 9월 11일을 맞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카탈루냐 분리 독립을 외치며 거리로 나선 시민들. [사진 catalunyaforces.cat]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페인으로부터 분리독립을 추진 중인 카탈루냐 자치정부가 중앙정부의 승인 없더라도 일방적인 독립 선언을 준비 중인 것이 22일(현지시간) 드러났다.

이날 스페인 일간 엘파이스가 단독 입수해 공개한 카탈루냐 자치정부의 새 헌법안에는 "스페인 중앙정부가 카탈루냐 독립 국민투표를 저지할 경우 카탈루냐 독립 정부를 수립하는 이 헌법이 즉각 효력을 발휘한다"는 항목이 포함됐다.

이같은 조항은 오는 10월께 분리독립을 묻는 국민투표를 준비 중인 카탈루냐 자지청부가 중앙정부의 반대를 돌파하기 위해 넣은 것으로 풀이된다. 스페인 정부가 국민투표를 저지하더라도 단독으로 독립선언이 가능한 법적 근거를 마련한 것이다.

엘파이스는 "카탈루냐 자치정부는 스페인으로부터의 일방적인 독립선언 근거를 명시한 이 헌법 초안을 지난 몇 개월 동안 숨겨왔다"며 "독립파가 다수를 점하고 있는 카탈루냐 주 의회는 현재 이 헌법 초안의 승인 절차에 들어갔으며 48시간 내로 이 절차가 마무리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 헌법은 카탈루냐 공화국이 수립될 경우 의회가 정식으로 헌법을 제정하기 전까지 약 2개월 간 예비적으로 사용된다.

카탈루냐를 독립된 공화국으로 규정한 이 헌법 초안은 현 카탈루냐 영토의 주권을 카탈루냐 국민에게로 완전히 귀속시키고 국가의 제1언어를 표준어인 카스티야어 대신 카탈루냐어로 지정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또 이 헌법은 카탈루냐 독립이 국민투표를 통해 비준된 이후 효력을 발휘하지만, 스페인 정부가 이 국민투표를 저지할 경우 즉각 발효된다.

카탈루냐는 인구 약 750만이 거주하고 있는 스페인 북동부의 자치 주다. 스페인의 17개 자치 주 가운데 가장 경제 규모가 큰 카탈루냐는 스페인 전체 생산량의 20% 안팎을 차지할 정도로 부유한 지역이다. 스페인 산업·관광의 중심지인 바르셀로나가 카탈루냐의 주도다. 언어로는 카스티야어와 함께 고유 언어인 카탈루냐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카탈루냐 자치정부는 2000년대 후반부터 스페인 정부에 분리독립을 요구해왔으나 스페인 정부의 반대로 국민투표를 실시하지 못했다. 그러나 스페인 경제가 악화되면서 카탈루냐 내에서 독립 여론이 커지자 자치정부도 독립에 보다 힘을 싣는 모양새다. 2014년 카탈루냐 의회의 비공식 국민투표에 따르면 81%가 독립에 찬성했다. 그러나 투표율이 41%로 낮아 민의를 대변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기준 기자 foridealist@joongang.co.kr

이기준 기자 lee.kijun@joins.com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