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인구 줄고 빈집 급증하는 '축소 도시' 전국 20곳, 어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일보

전국 축소도시 분포 현황. /국토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지방 중소도시 20곳에서 인구가 줄고 빈집과 기반시설은 남아도는 ‘도시 축소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7일 국토연구원 도시정책연구센터 구형수 책임연구원 등은 최근 ‘저성장 시대의 축소도시 실태와 정책방안’ 연구 결과를 내놨다.

‘축소도시’는 인구가 줄어들면서 방치되는 부동산도 증가하는 곳을 말한다.

연구팀은 인구주택총조사 데이터 등을 활용해 1995년~2005년, 2005~2015년 두 기간 연속으로 인구가 감소한 곳과 두 기간 중 한 기간만 인구가 줄었더라도 최근 40년간 최대 인구에 비해 25% 이상 줄어든 곳을 축소도시로 분류했다.

그 결과 꼽힌 20개 축소도시 가운데 가장 많은 7곳이 경상북도에 쏠려 있었다. 영주·문경·안동·상주·김천·영천·경주다. 강원도(태백·동해·삼척)와 충청남도(공주·보령·논산)에는 각각 3곳의 축소도시가 나왔다. 전라북도는 익산·김제·정읍·남원 등 4곳, 전라남도는 나주·여수 등 2곳이 꼽혔다. 경상남도는 밀양 1곳이다.

정점인구와 비교할 때 인구가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전북 김제시다. 2015년 기준 인구가 8만4269명으로 1975년(22만1414명)에 비해 61.94% 급감했다. 태백(59.0%)·나주(56.4%)·상주(56.4%)·정읍(55.4%) 등도 감소폭이 컸다.

축소도시의 공가율(빈집비율)은 전국 평균인 6.5%를 넘어섰다. 공가율이 전국 평균의 2배(13.0%)보다 높은 곳도 4곳(태백·삼척·나주·영천)이었다.

20개 축소도시는 모두 재정자립도가 30%를 넘지 못했고, 정읍·남원·김제·안동·상주 등 5개 도시는 재정자립도가 15%에도 못 미쳤다.

연구팀은 “도시기능의 존속을 위해 축소된 인구에 맞게 도시 규모를 축소하고 거점으로 공공서비스의 재배치를 유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경묵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