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삼성전자, 美 투기자본이 요구한 지주회사 전환 포기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BS노컷뉴스 이용문 기자

노컷뉴스

(사진=이한형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계 투기자본 엘리엇의 요청으로 검토해 왔던 지주회사 전환을 포기했다.

삼성전자는 27일 이사회를 열고 지주회사로 전환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주회사로 전환할 경우 전반적으로는 사업경쟁력 강화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경영 역량의 분산 등 사업에 부담을 줄 우려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삼성은 설명했다.

또 지주회사 전환 과정에서 수반되는 여러 문제들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삼성전자는 덧붙였다.

우선 지주회사 전환 과정에서 삼성전자와 계열회사의 보유 지분 정리 등이 필요한데, 계열회사의 보유 지분 정리는 각 회사의 이사회와 주주들의 동의가 필수적이어서 삼성전자가 단독으로 추진하는 것이 어렵다는게 이유다.

특히 금산법과 보험업법이 규정한 바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지주회사와 사업회사로 분할할 경우 현재 금융 계열회사가 보유 중인 삼성전자 지분 일부 또는 전량 매각이 필요할 수도 있어 삼성전자 주가에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게 두번째 이유다.

또 최근 지주회사 전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건의 법 개정이 추진되고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분석됐다.

삼성전자는 이에따라 지주회사 전환이 어려운 제반 여건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구조 대비 뚜렷한 개선 요인이 없어 주주 가치와 회사 성장에 모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삼성전자의 사업구조는 스마트폰, TV 등 세트 사업과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부품 사업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이를 통해 경기가 하락해도 실적 변동성을 최소화할 수 있었으며, 기술과 설비에 대한 과감한 선제 투자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할 수 있었다는게 삼성전자 이사회의 판단이다.

또한 고수익 사업에서 창출되는 수익을 미래 신성장 동력 발굴에 활용하는 등 선순환적 사업 구조가 지속 성장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삼성은 설명했다.

이는 다른 글로벌 IT기업이 가지지 못한 강력한 장점이라는게 삼성전자의 분석이다.

회사가 사업 구조적 측면의 경쟁력을 갖춘 상황에서 지주회사로의 전환은 추가적인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 바가 별로 없어, 삼성전자는 그 동안 지주회사 전환에 부정적인 입장이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나 투자자들의 요청에 따라 삼성전자는 지난해 11월 '주주가치 제고 방안'에서 발표한 바와 같이 중립적인 입장에서 외부전문가들과 전략, 운영, 재무, 법률, 세제, 회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지주회사 전환 여부를 검토해 왔지만 이날 추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