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지난해 결핵환자 4.3% 감소... 여전히 OECD 국가 1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해 결핵 신환자가 4.3% 감소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제 7회 결핵예방의 날'을 맞아, 지난해 국가결핵감시체계를 통해 분석한 '2016년 결핵환자 신고현황'을 23일 발표했다.

지난 2016년 결핵 신환자는 3만892명(10만 명당 60.4명)으로, 2015년 3만2181명(10만 명당 63.2명) 대비 신환자율이 4.3% 감소했다. 지난 2000년 이후 좀처럼 줄지 않던 결핵이 2012년(3만9545명/10만 명당 78.5명)부터 감소하기 시작해 2016년까지 8653명이 감소한 것이다.

특히 15~24세까지 젊은 층에서 결핵이 크게 줄었다. 2016년에 15~19세 청소년층의 경우는 전년 대비 23.8% 감소했으며 2011년 2030명에서 2016년 750명으로 약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20~24세의 결핵 신환자율은 15.7% 감소했다. 2015년 1671명(10만 명당 47.6명)에서 지난해 1419명(10만 명당 40.1명)으로 252명(15.7%) 줄어들었다.

이는 2011년부터 철저한 결핵환자 관리 등과 더불어 2013년부터 결핵역학조사반을 구성해, 학교·직장 등 집단시설 내 역학조사 등을 집중적으로 실시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외국인 결핵 환자는 지속적인 증가 추세로 신환자는 2015년 1589명에서 2016년 2123명으로 전년대비 33.6% 증가했다.

또 매년 3만여 명 이상 결핵환자가 발생하고 2200여명이 사망하고 있는 등 여전히 결핵으로 인한 손실이 크다. OECD 회원국 중 결핵 발생률 1위로 2위 국가와의 격차도 커 여전히 결핵 후진국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한국전쟁 등을 겪으면서 잠복결핵 보유자들이 많기 때문에 결핵 발생율이 높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3월, OECD 최하위인 결핵 발병 지표를 2025년까지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선제적 예방에 중점을 둔 '결핵 안심국가 실행계획'을 마련해 '국가정책조정회의'를 통해 논의·확정하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올해 1월부터 병역판정검사 대상자 34만 명에 대한 잠복결핵검진을 시작으로 180만여 명에 대해 잠복결핵 검진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치료해 나갈 계획이다.

집단시설 대상 잠복결핵 검진은 △의료기관 종사자 12만명 △어린이집 종사자 14만명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13만명 등 집단시설 종사자 38만 명에 대해 잠복결핵 검진이 시행된다. 또 학교 밖 청소년 1만명과 교정시설 재소자 4만명에 대해서도 각각 3월과 5월부터 잠복결핵 검진이 실시될 계획이다. 이외에도 올해 4월부터 고교 1학년 학생, 교원 47만명을 대상으로 잠복결핵검진을 실시한다.

정기석 질병관리본부장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결핵 안심국가' 사업은 결핵 발생률을 선진국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강도 높게 추진될 것"이라며 "결핵퇴치를 위해 국민들이 결핵에 대해 경각심을 갖고 결핵예방수칙을 잘 지켜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24일 서울 세종로 세종문화회관에서 개최되는 '제7회 결핵예방의 날'에는 질병관리본부장을 비롯해 관련 기관 및 단체장 등 주요 인사 200여명이 참석해 진행된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의학전문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