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JY, 빅테크 거물과 연쇄회동… 삼성 미래기술 협력 넓힌다 [이재용 美 출장일정 마무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재용 회장, 2주간의 광폭 행보
저커버그 메타 CEO 자택서 만나
AI 등 첨단기술 파트너십 재확인
아마존·퀄컴과는 반도체 협력 강화


파이낸셜뉴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왼쪽)이 11일(현지시간) 미국 서부 팰로앨토에 위치한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 자택에서 단독 미팅을 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미국을 방문해 메타·아마존·퀄컴 등 글로벌 빅테크 최고경영자(CEO)와 연쇄회동하며 반도체와 인공지능(AI) 등 핵심사업 경쟁력 제고와 새로운 협력모델 구축에 나섰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와는 '자택회동'을 통해 기술 파트너십을 재확인하고 앤디 재시 아마존 CEO, 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CEO와는 반도체 사업 협력 강화를 논의했다.

■JY, 삼성 '미래 기술 경쟁력' 점검

13일 재계에 따르면 이 회장은 미국 동부 일정을 마친 뒤 서부로 이동해 글로벌 정보기술(IT)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메타, 아마존, 퀄컴 등 빅테크 기업 CEO와 잇따라 만나며 약 2주간에 걸친 미국 출장일정을 마무리했다. 이 회장은 글로벌 시가총액 1위 기업이 매년 바뀔 정도로 격화하고 있는 '기술 초경쟁' 시대 속에서 삼성의 글로벌 위상과 미래 기술 경쟁력을 점검했다. 이 회장은 미국 출장일정을 마치며 "삼성의 강점을 살려 삼성답게 미래를 개척하자"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지난 11일(현지시간)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의 자택에서 단독 미팅을 했다. 지난 2월 저커버그 CEO 방한 당시 이 회장의 초대로 삼성 영빈관인 승지원에서 회동을 한 뒤 4개월 만이다.

이 회장은 저커버그 CEO와 AI·가상현실·증강현실 등 미래 정보통신기술(ICT) 산업과 소프트웨어 분야 협력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장은 2011년 저커버그 CEO 자택에서 첫 만남 이후 총 8차례 미팅을 가질 정도로 각별한 우정을 쌓아오고 있다. 저커버그 CEO는 지난 2월 방한 당시 "삼성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거대기업으로서 글로벌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에 이러한 부분들이 삼성과의 협력에 있어 중요한 포인트가 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12일(현지시간)에는 시애틀 아마존 본사에서 앤디 재시 아마존 CEO와 회동했다. 이 자리에는 삼성전자의 전영현 반도체(DS)부문장, 이정배 메모리사업부장, 한진만 DSA 부사장, 최경식 북미총괄사장 등이 배석했다.

아마존은 세계 1위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로, 차세대 메모리를 비롯한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의 핵심 비즈니스 파트너 중 하나다. 이 회장과 재시 CEO는 생성형 AI와 클라우드컴퓨팅 등 현재 주력 사업에 대한 시장전망을 공유하며 협력 확대를 논의했다. 재시 CEO는 작년 4월 생성형 AI에 본격 참여계획을 밝히고 클라우드 기반 AI 서비스 혁신에 공을 들이고 있다. 올해 3월 AI 데이터센터에 15년간 1500억달러 투자를 발표했고, AI 기업 앤스로픽에 40억달러를 투자하는 등 AI 주도권 확보 경쟁에 뛰어들었다.

재계 관계자는 "아마존은 삼성전자가 주도하는 차세대 화질 기술인 'HDR10+' 진영에 참여하고 있다"며 "이번 만남을 통해 삼성과 아마존 협력관계가 한층 깊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퀄컴·팹리스와 반도체 협력 확대

이에 앞서 이 회장은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에 위치한 삼성전자 DSA에서 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CEO를 만나 AI 반도체와 차세대 통신칩 등 미래 반도체 시장에서의 협력 확대방안을 논의했다.

이 회장은 이번 미국 출장기간에 퀄컴뿐만 아니라 글로벌 팹리스 시스템반도체 기업들과도 잇따라 만나며 파운드리 사업 협력 확대와 미래 반도체 개발을 위한 제조기술 혁신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파운드리 강자인 대만 TSMC와 점유율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네트워크 확보와 포괄적 협력 노력을 통해 경쟁력 제고라는 마중물 역할이 기대되는 대목이다.

이 회장이 2주간 출장을 통해 다진 글로벌 네트워크와 이를 통한 빅테크들과의 포괄적 협력 노력은 글로벌 전략회의를 통해 구체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다음주 중 세트와 부품(반도체) 부문 주요 경영진과 해외 법인장 등 주요 임원이 참석하는 글로벌 전략회의를 열 예정이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