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유일호 "대우조선해양, 마지막 기회…사전회생계획제도 검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아시아투데이 강태윤 기자(세종) = “대우조선해양의 정상화를 위해 자율적인 채무조정을 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채무조정에 대한 합의 도출에 실패하면 법적 강제력을 활용하는 사전회생계획제도(P-Plan)를 적용하는 게 불가피하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3일 ‘제11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며 대우조선해양의 구조조정 추진방안 관련 이 같이 밝혔다.

유 부총리는 “정부는 ‘국민경제적으로 구조조정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엄정한 손실분담 및 자구노력이 우선돼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 기업구조조정을 추진해 왔다”며 “원칙이 지켜지지 않을 경우엔 법에 따른 처리 방침을 견지해 왔다”고 설명했다.

대우조선은 강도 높은 자구노력 이행을 전제로 산업은행·수출입은행이 손실을 분담, 경영정상화에 매진해 왔다. 선박·해양플랜트 86척을 정상 인도해 15조원을 회수했다. 부족자금의 자체조달을 위해 지금까지 1조8000억원의 자구계획을 이행했다.

하지만, 사상 최악의 수주절벽과 건조된 선박의 인도 지연 등으로 자구노력만으론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유 부총리는 “국책은행, 시중은행, 사채권자 등 이해관계자가 충분한 수준으로 고통을 분담하는데 합의가 필요하다”며 “부족한 유동성을 공급해 수익창출이 가능한 경영구조로 전환시키는 게 국민경제적 부담 최소화 차원에서 합리적인 방안”이라고 제시했다.

이어 “유동성을 지원하는 경우에도 경쟁력이 없는 해양플랜트 부문을 대폭 축소하고, 경쟁력있는 상선·방산 중심으로 사업재편을 해야 한다”며 “내년 이후엔 인수합병(M&A)를 통한 ‘주인찾기’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