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노키아와 MWC서 사업 협력 계약 체결
출처=SKT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양자암호통신 장비를 테스트하는 SK텔레콤 퀀텀테크랩 연구원. SK텔레콤이 개발한 양자암호통신 원천기술이 글로벌 네트워크 기업 노키아(Nokia)의 차세대 전송 장비에 탑재돼 전 세계로 확산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27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2017)’에서 노키아와 양자암호통신 사업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SK텔레콤과 노키아는 올해 하반기까지 SK텔레콤 양자암호기술 기반의 ‘퀀텀 전송 시스템’을 공동 개발하고 이를 노키아의 차세대 광전송 장비에 탑재해 상용화하기로 했다.
◆ SKT 한국에서 6년간 개발해 ‘독자 기술’ 확보
양자암호통신은 분자보다 더 작은 단위인 ‘양자’를 활용한 암호화 기술이다. 현존하는 어떤 해킹 기술로도 뚫을 수 없는 가장 완벽한 통신 보안 체계로 알려져 있다. 국방ㆍ금융ㆍ데이터센터ㆍ자율주행차ㆍ사물인터넷(IoT) 등 데이터 해킹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영역에서 현재 보안 솔루션을 대체할 ‘미래 30년을 책임질 국보급 기술’로 손꼽힌다.
SK텔레콤은 ‘양자 암호’라는 용어도 생소했던 지난 2011년부터 양자기술연구소인 퀀텀테크랩(Quantum Tech. Lab)를 종합기술원 산하에 설립했다. 설립 후 지난 6년간 뚝심 있게 한국산 양자암호 원천기술과 상용시스템 개발에 매진해왔다.
이번 ‘MWC 2017’에서 양자암호통신 기술과 노키아의 네트워크 기술을 결합한 ‘퀀텀 전송 시스템’을 시연하는 데 성공했다. 그동안 한국은 미국ㆍ중국보다 개발 시작이 늦었다는 지적을 받아왔지만 이번 성공으로 양자 암호 기술을 세계에 수출할 수 있는 기술종주국 반열에 올라서게 됐다.
SK텔레콤은 “네트워크 분야에서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업인 노키아와 사업협력을 체결한 건 한국의 양자 보안 기술력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고 설명했다.
◆ SKT 원천기술 "글로벌 Top 기업과 협력 통해 세계로 확산"
27일 SK텔레콤-노키아와 사업 협력 체결식에 참석한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SK텔레콤이 최고의 기술을 확보한 것과 글로벌 생태계를 만들고 확산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라며 “노키아 등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을 통해 새로운 ICT패러다임과 생태계를 빠르게 열어가겠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노키아와 사업 협력 계약을 통해 ICT생태계와 글로벌 시장을 빠르게 확대하는 게 목표다.
출처=SKT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7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MWC 2017에서 라지브 수리 노키아 CEO(왼쪽)와 박정호 SKT 사장(오른쪽)이 양자암호통신 사업 협력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SK텔레콤 측은 “독자적인 양자암호통신 전송 장비를 개발해 세계 시장을 노리기보다 노키아와 제휴를 맺어 글로벌 통신 영업망을 활용해 신속히 시장의 파이를 키우기로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함께 참석한 라지브 수리(Rajeev Suri) 노키아 CEO는 “SK텔레콤의 양자통신 기술로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했다”며 “이를 기반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사이버 보안 시장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같은 날 SK텔레콤은 유럽 도이치텔레콤과 SK텔레콤의 양자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글로벌 생태계 구축 추진을 위한 상호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 SKT, 스마트폰ㆍ사물인터넷 기기에 탑재 가능한 초소형 SoC 개발에도 도전
SK텔레콤은 이번에 공개한 ‘퀀텀 전송 시스템’ 외에도 양자암호기술을 사물인터넷(IoT) 기기에 적용하기 위한 핵심 기술 개발에도 나서고 있다.
SK텔레콤은 가로세로 5mm인 초소형 비메모리 반도체인 ‘양자난수생성기(Quantum Random Number Generator, QRNG)’를 올해 상반기 안에 개발 완료하고 연내 상용화할 계획이다.
‘QRNG’는 양자암호를 생성하는 핵심 기술로 추정 불가능한 난수를 생성한다. 현재 ‘QRNG’는 신용카드 크기라 스마트폰 등에 탑재할 수 없다. 하지만 초소형 칩이 개발되면 스마트폰, 사물인터넷 기기, 자율자동차 등에 탑재할 수 있다. 이는 취약하다고 알려진 IoT 보안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조수연 기자
-Copyright ⓒ 이코노믹리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