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MWC 2017] 삼성전자, 5G 상용제품 풀 라인업 공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삼성전자 5G 상용 제품 풀 라인업.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배지윤 기자 = 삼성전자가 26일(현지시간)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7’ 개막에 앞서 스페인 바르셀로나 까탈루냐 콩그레스 센터에서 차세대 5G 통신 상용제품 풀 라인업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5G 서비스를 위한 △소비자용 단말 △기지국 △차세대 코어네트워크 장비를 선보였다. 개별적인 5G 시제품이 아닌 칩셋부터 단말, 네트워크까지 5G 상용제품 풀 라인업을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팀 백스터 삼성전자 북미법인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다양한 분야의 제품과 기술을 보유한 종합적인 5G 기업이며 다양한 기기들을 연결해 소비자들에게 가치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5G 상용 제품 풀 라인업을 기반으로 모든 것이 연결된 미래에 어떤 일들이 가능한지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 핵심 RFIC 칩·소비자용 단말·네트워크 통신장비까지…5G 상용 제품 풀 라인업 공개
삼성전자가 이번에 공개한 5G 제품 라인업은 RFIC 핵심 칩을 탑재한 단말과 기지국으로 28GHz 주파수 대역을 지원한다. 사용자는 5G 단말을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하기만 하면, 5G 기지국이 이를 자동으로 인식, 별도 세팅 과정 없이 최대 1Gbps 속도로 무선 인터넷, 음성 통화(VoIP) 등 초고속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삼성전자가 개발할 5G 기지국은 가볍고 작아, 가로등, 건물 외벽 등 건물이 밀집된 도심 어디에나 쉽게 설치할 수 있다. 28GHz 대역을 활용하면 최대 10Gbps의 데이터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5G 통신망은 주파수 대역 특성상 4G LTE 통신망과 비교해 더 많은 기지국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삼성전자는 5G 네트워크의 리소스 관리, 실시간 데이터 트래픽 분산처리 등을 담당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코어장비도 공개했다. 소프트웨어 기반의 가상화 기술을 활용해 유연한 네트워크 자원관리, 실시간 트래픽 분산처리가 가능하고 높은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2018년부터 본격 상용화 될 것으로 예상되는 5G 고정식 무선통신서비스, 사물인터넷(IoT), 커넥티드 카 등 다양한 5G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로 설계되었다.

◇ 미국 버라이즌 통해 올 4월부터 시범 서비스…2018년 초 상용 서비스 계획
삼성전자는 5G 첫 번째 서비스 모델인 5G 고정식 무선통신서비스를 시작으로 다양한 5G 서비스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5G 고정식 무선통신서비스는 5G 통신 서비스의 초기 형태로 각 가정, 사무실 등에 광케이블을 설치하지 않고도 최대 1Gbps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즐길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보급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국가에서 광케이블을 매설하는 FTTH 기술을 대체할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삼성전자는 미국 버라이즌과 워싱턴 D.C., 뉴저지 등 주요 5개 도시에서 올 4월부터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5G 고정식 무선통신서비스 시범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2018년 초에는 상용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약 5년 전부터 차세대 5G 무선통신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아울러 미국·일본·중국·유럽·한국 등 전 세계 통신사업자와 협력하고 있다. 또한 이번에 발표한 밀리미터파 대역을 활용하는 제품뿐 아니라 6GHz 이하 대역을 지원하는 제품 라인업도 선보일 계획이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