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MWC 2017 개막] SKT, 5G 커넥티드 카와 AI로봇 무기로 해외 공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바르셀로나(스페인)=김미희 기자】 SK텔레콤이 핵심 경쟁력인 5세대(5G) 이동통신과 인공지능(AI)을 무기로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선다. 이때 5G 속도 시연 등 단순 기술 전시를 넘어,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서비스인 5G 커넥티드 카와 AI로봇 등으로 전 세계 파트너사와 관람객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전망이다.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텔레콤 MWC 2017 부스 조감도. SK텔레콤 전시관 외벽은 테크 스타트업 레온의 플렉서블 투명 LED 디스플레이로 구축했다. /사진=SK텔레콤

■국내외 2000개 기업 초청…5G·AI 융합서비스 시연
SK텔레콤은 27일(현지시간)부터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모바일 월드콩그레스(MWC) 2017’을 통해 5G와 AI기반 융합서비스를 선보인다고 26일 밝혔다.

SK텔레콤은 ‘모든 것을 연결하다(Connect Everything)’란 주제로, MWC의 중심인 제3전시장(홀3)에 604㎡ 규모의 단독 전시관을 마련했다. 5G 기반 커넥티드 카와 차세대 AI 로봇, 머신러닝(기계학습)과 결합된 스마트홈 등이 구현될 SK텔레콤 전시관에는 인텔, 버라이즌, 에릭슨, 노키아, BMW 등 국내외 2000여 개 기업들이 방문해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또 사물인터넷(IoT)과 가상현실(VR) 등 국내 유망 테크 스타트업(기술중심형 창업초기기업)의 제품을 전시 부스에 활용, 이들 업체가 해외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도 마련했다. 이는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4차 산업혁명시대의 생존전략으로 제시한 ‘개방과 협력’의 일환으로 이뤄졌다.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텔레콤의 'MWC 2017' 주요 전시 아이템 /사진=SK텔레콤

■5G 기반 커넥티드 카와 실감형 VR 미디어 선보여
SK텔레콤은 우선 5G 기반 ICT 융합서비스로 커넥티드 카 ‘T5’와 초고화질(UHD)의 ‘360도 VR 생방송’을 전시한다. T5는 최근 시속 170km의 초고속 주행환경에서 3.6Gbps(초당 기가바이트) 속도로 통신하는 데 성공, 세계 최초의 초고속·초저지연 5G 커넥티드 카라는 기록을 세웠다. 즉 초고속으로 달리는 커넥티드 카가 주변 차량들은 물론 교차로 신호, 폐쇄회로TV(CCTV) 등 각종 인프라와 대용량 정보를 실시간 주고받으면서 돌발 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글로벌 통신 및 완성차 업체들이 T5에 높은 관심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SK텔레콤은 MWC 전시현장을 360도 VR카메라로 촬영해 모바일 동영상 플랫폼 ‘옥수수’와 페이스북, 유튜브 등으로 실시간 전송할 계획이다. 총 6개의 카메라를 이용해 360도 전 방위 화면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360 라이브 VR’은 시청자가 디스플레이 기기(HMD)를 머리에 쓰면, 현장에 온 것처럼 시선에 따라 UHD 화면을 볼 수 있는 게 강점이다.

■외국인도 AI비서 ‘누구’ 통해 말로 스마트홈 제어
SK텔레콤은 또 음성명령은 물론 영상까지 인식할 수 있는 차세대 AI로봇을 포함해 총 5가지 유형의 AI 로봇을 선보인다. 이번 MWC에서 처음 공개되는 SK텔레콤의 탁상형 ‘소셜봇(Social Bot)’은 얼굴 부문에 카메라와 소형화면을 장착해 이용자의 목소리와 손동작에 따라 작동하거나 정보 검색 결과물을 보여주도록 한 게 특징이다.

SK텔레콤의 음성인식 기반 AI비서 ‘누구(NUGU)’도 한층 강화된 모습으로 전시된다. IBM의 AI플랫폼 ‘왓슨’을 기반으로 구축된 SK(주)C&C의 AI서비스 ‘에이브릴’을 연동해 라디오 재생, 날씨 안내, 상식 질의 등을 영어로 구현하는 것이다. 이때 누구는 전시장 내 스마트홈과 연계, 참관객들이 말 한 마디로 집안 조명과 공기청정기 등을 제어하는 경험을 누리도록 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올해 MWC에서는 첨단 신기술을 선보이는데 그치지 않고, 참관객들이 직접 미래 변화상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