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우보세]토종 모바일 스타트업의 대륙 공략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중국 선전의 한 IT기업이 VR(가상현실) 스마트폰 공개행사를 열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VR)이나 다른 모바일 시장에선 (글로벌 경쟁사들과) 동시에 (시장에) 들어가더라도 밀릴 이유가 없다는 자신감이 있다. 드론시장을 석권했듯 VR시장도 잡겠다는 것이다."

중국진출 10년 동안 산전수전 겪었다는 김두일 차이나랩 대표가 '2016 대한민국 모바일 컨퍼런스'에서 밝힌 중국 모바일 기업들의 현주소다. 초저가 VR 기기 '폭풍마경'으로 VR에 익숙해진 중국사용자들은 상해에서만 100여곳이 넘는 VR방을 이용하고 있다.

중국 벤처캐피탈(VC)의 VR 스타트업 투자 열기도 뜨겁다. 초기 엔젤투자인 시리즈 A 규모가 평균 우리 돈으로 10억~20억원에 달한다. 당장 매출이나 수익이 발생하지 않아도 '큰 시장'에서 사업하면 반드시 돈 벌 기회가 있고 엑시트(투자금 회수) 할 길도 열린다는 확신에서다.

특히 이 같은 VC와 액셀러레이터가 2000~3000곳에 달한다. 지난해 우리나라 VC가 투자한 기업의 총합이 900개 남짓하다. 규모의 전쟁에서 이미 싸움이 되지 않는 수준이다. 아직 중국도 VR 콘텐츠 스토어가 제대로 열리진 않았다. 하지만 알리바바, 텐센트 등 주력기업들은 일찌감치 SDK(소프트웨어 개발키트)를 보급하며 VR 시장이 무르익길 기다리고 있다.

시장조사기관들에 따르면 2020년 VR 시장 규모는 700억 달러에 달한다. 하지만 국내 VR 시장의 분위기는 중국과 사뭇 다르다. 국내 VR방은 1호점이 4개월 전에야 오픈했고 그마저 강남과 홍대 2곳에 그친다. 전파인증과 콘텐츠 심의 등이 발목을 잡았다. 일본이나 중국은 물론이고 러시아보다도 시장 초기 대응이 늦었다.

김 대표는 "VR이나 AI(인공지능) 등 새로운 모바일 분야에서 중국에 뒤쳐지고 있다"며 "시장의 크기가 다르고 정부의 지원이 다르다"고 지적했다. 시장의 사이즈만큼 정부의 예산지원 규모도 차이가 크다. 지난 1월 초 정부가 향후 5년간 쏟아붓겠다고 한 VR·AR(증강현실) 지원 규모 4000억원은 중국 정부의 1년치 지원 규모에 그친다. 뛰는 한국 위에 나는 중국이라도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륙의 물량공세 속에서 역으로 중국에 진출해 빛을 본 토종 모바일 기업들도 있다. 잠금화면을 통해 앱 설치 같은 광고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보상해주는 리워드 앱서비스 머니락커와 모바일 스타일링 어플리케이션인 피츄인 등이 대표적이다. 지난주 2016 대한민국 모바일 컨퍼런스에서 이들이 토종 스타트업들에게 남긴 메시지는 단순하다.

"한국이나 미국만 고집하지 말고 가까운 중국에 진출해라. 핵심 서비스에 집중해라. UI(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최대한 직관화하라. 끝까지 버텨라." 대륙의 인해전술과 물량 공세에 정면 대결하기보다는 한국 기업들의 강점인 '디테일'을 살려야 한다는 조언도 함께 했다. '용의 등'에 올라타 규모의 경제를 갖춘 중국 플랫폼을 활용하는 전략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쫄지 말고!'

김희정 기자 dontsigh@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