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환경연합 “충남 가뭄, 지속가능한 대책 마련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환경관련 시민단체가 충남 서부지역의 물부족 사태(경향신문 10월7일자 9면 보도)에 대해 “물정책 실패 사례”라며 “지속가능한 가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은 22일 성명을 통해 “충남서부지역 유수율 50~70% 수준으로 누수 저감만으로도 단수 해결은 힘들다”며 “누수 저감, 지방상수원 보전, 수리권 조정, 지하수 관리 강화 순서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은 또 “정부나 지자체가 이번 가뭄을 기회로 삼아서 새로운 댐 건설계획이나 토목개발 계획을 남발하거나 잘못된 주장을 유포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

경향신문

환경연합은 이어 “가뭄으로 확인된 것은 4대강사업의 실태”라며 “제2의 4대강 사업은 또 다른 재앙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단체는 “중앙 정부 차원의 노력과 함께 유역차원의 협력 관리가 가능토록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지역민의 수요와 지역의 비전을 반영하는 물이용과 관리체계의 구축은 불필요한 시설의 남발을 막고, 시민친화적이고 지역친화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전제”리고 말했다.

이 단체는 또 물부족 현상에 대한 대안으로 상수도 누수 감소방안 마련, 지방상수원 보전·복원, 수리권 조정 및 운용 합리화, 지하수 관리강화,가뭄피해 감수를 위한 사회적 합의 등을 제안했다.

정부는 충남지역 물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보령댐 도수관로 조기 착공’ 등 범정부 차원의 가뭄대응에 나선 상태다. 정부는 지난 11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추경호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제1차 ‘물관리협의회’를 열고, 가뭄대책을 논의했다. 정부는 금강 백제보 물을 충남 보령댐 상류로 공급하는 관로 매설 사업(예산 625억원)에 예비비 등을 지원하고 관로 매설 사업의 행정절차를 간소화해 이달 말 착공, 내년 2월 완공할 계획이다.

<손봉석 기자 paulsohn@kyunghyang.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