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메르스, 끝났지만 끝난 게 아닙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편집자주] 정부는 28일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사실상 종식됐다고 선언했다. 지난 5월20일 메르스 첫 확진자 발생 이후 69일만이다. 예상치 못했던 공습에 한 때 '의료 선진국'이라는 평을 받았던 대한민국에 메르스가 급속도로 퍼져나갔고, 전국민은 공포에 빠져들었다. 보건당국과 의료기관의 부실한 대처가 사태를 키웠다는 것은 자명하다.

다만 메르스 확산 중반 이후의 대응은 나쁘지 않았다는 평가다. 병원 간 감염이 걷잡을 수 없이 퍼졌지만, 지역사회 감염이나 광범위한 확산은 막아냈다. 메르스 최전선에는 환자를 돌본 의료진, 메르스 의심 환자를 관리한 보건소 등 지방자치단체 직원 그리고 방역당국 직원들이 있었다. 사태를 키운 부실한 시스템을 보완한 것은 사람들의 '희생'과 '노고'였다. 메르스의 광풍의 한 복판에 섰던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최전선에서 메르스 맞선 영웅들]정지헌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보건연구사]

머니투데이

정지헌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보건연구사. / 사진 = 이재윤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이들에게 '아빠가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검사한다고 어디 가서 얘기하면 안 돼'라고 말했습니다…. 혹시 왕따라도 당하면 어떡하나 걱정이 돼서요."

28일 만난 정지헌(48) 서울보건환경연구원 보건연구사는 메르스가 기승을 부리는 동안 직장에서도, 가정에서도 불안을 떨칠 수 없었다. 20여년 한 직장에서 일해 온 '베테랑'이지만, 이번 메르스 사태는 발병부터 확산, 종식을 거치는 기간 내내 그의 마음을 무겁게 했다. 자신과 가족, 환자들 모두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임무였지만, 동시에 자신은 물론 주변을 감염시킬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이었다.

서울보건환경연구원은 매일 서울 각 지역의 메르스 의심환자 검체를 체취, 양성·음성 판정을 내리는 작업을 맡았다. 환자는 물론 그들이 머물렀던 공간과 사용했던 물건까지 바이러스 검사의 대상이 된다. 최고참급인 정 연구사도 이번 사태 기간 동안 확진 환자가 발생한 대형병원 4곳을 비롯해 서울 지하철과 병원 등 수백여 곳을 검사했다.

"서울 강남 소재 한 병원의 확진환자 병실의 검사를 실시할 때는 솔직히 무서웠습니다. 감염을 막기 위해 물 분자도 통과하지 못하는 레벨C 보호 장구를 착용했지만 의도치 않은 돌발 상황 등의 위험을 배제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환자 바로 옆에서 검사해야 할 때는 '혹시나 환자가 재채기라도 하면 어쩌나'라는 생각이 들었죠. 보호복을 입고 있어도 무서운 마음은 쉽게 가시지 않더군요"

특히 환자 뿐만 아니라 보호장구를 갖춘 의료진도 다수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어려움은 더 커졌다. 몇달 동안 말 그대로 '메르스 바닥'에서 구르는 스스로는 어떻게 되더라도, 자신도 모르게 주변에 메르스 바이러스를 전하는 '전파자'가 될 것이 더 두려웠다는 게 정 연구사의 소회다. 사태 초기인 6월엔 각 병원도 제대로 메르스 대응을 하지 못해 상황이 열악했다.

"웬만하면 집에 들어가지 않으려고 했고, 피치 못하게 집에 들어갈 일이 생겨도 '내게서 멀리 떨어지라'고 몇 번이고 얘기를 했습니다. 오랜만에 본 아이들을 안아주고 싶어도 어쩔 수 없었어요."

머니투데이

정지헌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보건연구사(왼쪽)가 메르스 확진환자 감염병실 검사 전 물 분자도 통과하지 못하는 레벨C 수준의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있다. / 사진제공 = 서울보건환경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개월간 계속된 검사 작업 자체도 고됐다. 바이러스 전파 최소화를 위해 확진자가 생활했던 공간을 검사할 때는 연구사 홀로 진입했다. 환자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모든 공간을 훑었다. 한 번 검사에 착수하면 최소 5~6시간에서 최대 10시간 넘게도 이어지는 강행군이었다. 게다가 보호장구를 착용하면 땀 범벅에, 검사 후 '파김치'가 되기 일쑤였다.

더욱이 의료진과 환자들의 어두운 표정과 절망감은 작업을 더욱 힘들게 하는 요소였다고 털어놓았다. 정 연구사는 사태 초기 한 병원에 들어갔을 당시의 장면을 여전히 잊지 못한다.

"사태 초기였는데 확진자가 발생한 병원을 걸어 들어가는 것만으로도 떨렸습니다. 그런데 분위기는 왜 이리 삭막한지. 확산을 막기 위해 응급실 집기마다 하얀 천을 덮어뒀는데, 너무 을씨년스러웠습니다. 병원 내의 사람들도 별다른 대화나 표정이 없었고요. 사태가 마무리되고 다시 개원할 때 찾아가봤는데, 어찌나 활발하던지. 다른 곳 같았습니다."

정부가 메르스 사태 '종식'을 선언했지만, 정 연구사의 생각은 다르다. 감염병에 대한 정부의 대응은 물론 일반 국민들의 인식도 무방비상태였다는 게 이번 사태를 거치며 드러났기 때문이다. 그는 인터뷰 내내 "앞으로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감염병은 특별한 대책이 준비되기보다는 병의 증상을 환자들이 일상적으로 공유하고, 일선 보건소가 감염병에 대한 경각심을 바탕으로 환자에 발빠르게 대응하는 게중요합니다. 국민들을 최대한 불안하지 않도록 유도할 필요도 있는데, 이번 메르스 사태에선 정부의 대응이 가장 안타까웠고요. 메르스는 완전히 끝난 게 아닙니다. 현재 검사를 계속 진행 중이고, 앞으로 토착화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재윤 기자 mton@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