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단독] 특전사 간부 23명의 진술 모아보니‥지워지지 않는 내란 혐의

1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앵커 ▶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이 "의원들을 끄집어내라고 지시한 적이 없냐"며 윤석열 대통령을 직격했다는 내용 전해드렸는데요.

당시 곽 전 사령관이 윤 대통령에게 어떤 지시를 받아 현장에 하달했는지, 특전사 간부들이 직접 진술한 내용이 담긴 검찰 수사보고서를 저희가 확보했습니다.

23명의 진술이 담겼는데, 윤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장관의 지시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김상훈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 리포트 ▶

윤석열 대통령은 비상계엄 당시 곽종근 당시 특전사령관에게 전화한 건 현장 안전이 걱정돼서였지,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한 적 없다고 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2월 6일)]
"'저는 지금 지휘통제실, 지통실에 있습니다' 해서 '그러면 화상으로 보는 거군요?' 하고 '수고하라'고 저는 전화를 바로 끊었습니다."

하지만 곽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을 향해 "정녕 의원들을 끄집어내라고 지시한 적 없냐"고 최근 군사법원에 의견서를 제출하며 윤 대통령을 직격했습니다.

지난해 12월 검찰이 작성한 수사보고서를 보면 이를 뒷받침하는 곽 전 사령관 부하들 진술도 여럿 확인됩니다.

사령관이 "끌어낼 수 있겠냐", "다 끌어내야 하는데", "다 끄집어내야 한다"고 한 말을 들었다고 했습니다.

목표는 국회 내부로 진입해 의원들의 계엄 해제를 막는 것이었습니다.

사령관이 "국회의원들 들어가면 안 되는데", "본회의장 못 들어가냐, 어떻게든 들어가야 한다, 막야야 돼"라고 하더니 "무슨 방법이 없나, 아이디어 없나?"라고 묻고, "의결 정족수가 아직 안 채워진 것 같다", "가결을 막아야하는데 어떻게 하냐"고 했다는 겁니다.

이 가운데 일부는 국회에서 증언도 했습니다.

곽 전 사령관이 12월 4일 0시 30분쯤 '코드 원', 대통령으로부터 걸려 온 전화를 받았다는 겁니다.

[김영권/특전사 방첩부대장 - 백혜련/더불어민주당 의원 (2월 21일)]
"경직된 모습으로 전화 받으셨던 것 같습니다. <경직된 톤으로 '예예, 들어가겠습니다' 이런 말을 한 걸 들었지요?> 멀지 않은 거리여서 그 부분은 들었습니다."

이 참모는 이 통화 뒤 곽 전 사령관이 본회의장 강제 단전까지 언급했다고 했습니다.

"전기를 끊을 수 있냐"고 말하는 걸 들은 간부는 7명, "창문을 깨고 들어가"라는 지시를 들은 사람은 3명이었습니다.

계엄 해제 의결 뒤 군 투입 지시가 있었다는 진술도 2차례 나왔습니다.

한 소령급 간부는 "해제 의결 뒤 사령관이 상급자로부터 전화를 받고 '지금 들어가라는 말입니까?'라고 되물었다가 '진입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했고, 대령급 지휘관은 "새벽 2시쯤 사령관이 '장관님 이미 국회에서 병력이 빠져나왔는데 선관위에 다시 들어가는 건 안 될 것 같습니다'라고 말했다"고 진술했습니다.

MBC뉴스 김상훈입니다.

영상편집 : 이정근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편집 : 이정근 김상훈 기자(sh@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