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미얀마 중부 사가잉 일대를 강타한 지진은 태국과 중국 등 인접국에서도 강력한 진동을 느낄 수 있을 정도였다. 29일까지 사망자가 1644명에 이르고 부상자는 3400명을 넘어서는 인명피해를 냈다.
하지만 이런 재난과 더불어 미얀마는 지난 2021년 군부가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한 이후 민주주의의 회복을 위해 무기를 든 민간인과 오랫동안 독립을 위해 싸워 온 민족 무장 조직을 포함한 여러 집단으로 구성된 완강한 무장 저항에 직면했다. 이번 파괴적인 지진 이후에도 군부는 계속된 무자비한 공습으로 이들에게 대응해 충격을 주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9일(현지시간) BBC 등 외신들은 강진 발생 3시간도 못된 전날 오후 3시30분(현지시간)께 미얀마 정부군이 북부 샨주(州) 나웅초를 공습해 7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전했다. 미얀마 군정에 저항하는 소수민족 반군은 정부군이 지진 진앙인 북서부 사가잉주 창우도 공중폭격을 가했다고 주장했으며 태국에 인접한 지역 여러 곳도 공습을 당했다는 보고 들어왔다고 했다.
미얀마 민주진영 임정 국민통합정부(NUG)는 성명을 통해 30일부터 지진 피해지에서 방어적인 행위를 제외하곤 2주일 동안 군사작전을 정지한다고 선언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편, 미얀마 군부 수장 민 아웅 홀라잉은 28일 국제적 지원 요청을 호소했고, 전국 6개 지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29일에 러시아와 중국이 구조대와 물자를 날라왔고 인도는 수색 및 구조팀과 의료팀을 파견했다. 말레이시아는 30일에 50명을 파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